학술논문
초등기술기반 STEAM 교육이 초등학생의 기술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나만의 3D 입체 이미지 만들기’와 ‘QR코드로 명함 만들기’를 중심으로-
이용수 7
- 영문명
- Effect of Elementary Technology-Based STEAM Education on Attitude toward Technolog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금영충(Young-Choong Geum) 배선아(Seon-A Bae)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5권 제3호, 195~21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나만의 3D 입체 이미지 만들기’와 ‘QR코드로 명함 만들기’의 기술적 활동을 중심으로 초등기술기반 STEAM 교육이 초등학생의 기술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영가설을 설정하였다.
초등기술기반 STEAM 교육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초등학생의 기술적 태도는 ①기술에 대한 흥미, ②기술의 성 역할, ③기술의 중요성과 영향, ④기술의 접근 용이성, ⑤기술과 학교수업, ⑥기술 관련 진로, ⑦기술과 창의적 활동과 같은 하위 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26명을 대상으로 ‘방과후학교’ 활동에 ‘단일집단 사전 사후검사 설계’모형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검증 실시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기술기반 STEAM 교육은 초등학생의 기술적 태도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초등기술기반 STEAM 교육은 초등학생의 기술에 대한 흥미, 기술의 중요성과 영향, 기술과 학교수업, 기술 관련 진로, 창의적 활동에 관한 태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셋째, 초등기술기반 STEAM 교육은 초등학생의 기술의 성 역할, 기술의 접근 용이성에 관한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지 못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elementary technology -based STEAM education on attitude toward technolog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 null hypothesis was stat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attitude toward technolog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fore and after applied the elementary technology-based STEAM education in sub-elements ① interest in the technology, ② technology's gender role, ③ technology's importance and influence, ④ accessibility to technology, ⑤ technology and school curriculum,⑥ technology-related career, and ⑦ technology and creative activity.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to 'After-school'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for this experimental research.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62questions developed by Lee and was modified to suit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and interpreted statistically by paired samples t-test using SPSS(ver.15).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First, the elementary technology-based STEAM education was effective in raising technological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 elementary technology-based STEAM education was effective in enhancing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interest in technology, technology's importance and influence, technology and school curriculum, technology-related career, and creative activity.
Third, the elementary technology-based STEAM education was not effective in improving attitude on technology's gender role and accessibility to technolog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아동의 착의습관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교육대학교 학생의 실과 아이디어 구상 활동에서 TRIZ기법의 활용 효과
- 융합인재교육을 위한 초등 실과 의생활교육 방안
- 일본의 초ㆍ중학교 주생활 학습내용 분석을 통한 새로운 관점 도출
- 녹색식생활교육을 통한 아동의 인성교육
- 생명존중의식에 기반을 둔 생명이해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발명영재의 창의성 요인구조 분석
- 초등학생의 발명에 대한 태도
- 초등학교 예비교사를 위한『초등기술교육』코스웨어 개발
- 대학의 다문화 관련 과목에서 가족을 중심으로 한 교양과목을 통한 다문화 인식 변화
- 초등기술기반 STEAM 교육이 초등학생의 기술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나만의 3D 입체 이미지 만들기’와 ‘QR코드로 명함 만들기’를 중심으로-
- 중학교 주생활 영역의 ‘녹색 실내환경 실천하기’ 수업이 녹색생활 의식과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발명영재의 개념 요소 고찰:
- 메타 데이터와 한글 스크립트 포스트프로세서를 이용한 로봇 활용 STEM 교육의 접근에 대한 연구
- RoS 모델 적용을 통한 실과중심의 로봇활용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