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Courseware for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용익(Kim Yong Ik)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5권 제3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예비교사를 위한『초등기술교육』코스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 개발연구와 조사연구에 의하여 수행되었다.『초등기술교육』코스웨어는 10차시 분량으로, 주요 내용은 초등기술교육의 당위성을 두뇌이론, 뇌파 이론, 신경전달물질, 심리, 기술적 소양, 직업기초능력등의 관점에서 정당화, 창의성의 개념 및 신장전략, 씽크와이즈 등으로 구성되었다. 오프라인반은 15강 모두 면대면 강의를 하였고, 블렌디드반의 경우는 10강은 면대면 강의를, 5강은 온라인 강의로 진행하였다. 종강 후에 두 반(오프라인반, 블렌디드반)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한 결과, 오프라인반의 만족도가 조사 항목 모두에 대하여 블렌디드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블렌디드반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다고 하여 콘텐츠의 질이 심각하게 문제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개발한 콘텐츠를 수업의 주요 수단으로 사용하기보다는 교수자의 출장 등으로 인하여 결강 요인이 생겼을 때 보조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개발한『초등기술교육』콘텐츠의 강점은 언제 어디서든지 강의를 반복해서 들을 수 있다는 점이며, 약점은 상호작용 미흡, 화질과 영상의 질 저하, 자료 다운받기 불가능, 지나치게 동영상 강의위주로 구성되었다는 점 등이 지적되었다. 따라서 추후 보완, 수정 시에는 학습목표와 진단평가 삽입, 다양한 자료를 활용한 콘텐츠 구성, 학습 자료와 동영상 강의 간에 유기적인 네트워크 강화, 깨끗한 영상과 음향의 구현, 활발한 상호작용 유발, 학습 자료의 다운로드 기능 추가 등의 조치가 있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 KOCW『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 n』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pply the contents to the educational field, and examine the satisfactory degree of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development research and survey research. Survey instrument for measuring satisfactory degree level were used by ◯◯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s revision. KOCW『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contents were composed of justification in the aspects of brain theory(left and right brain, brain wave, neurotransmitter), psychology, and technological literacy, creativity, and ThinkWise(software). Offline classes were done by only 15 face-to-face lectures. Blended classes were done by
10 face-to-face lectures and 5 online lectures. By a comparative survey of two groups on the last day of school, satisfactory degree in blended classes was lower than that of offline classes, as expected. So, it was suggested that developed contents should be used as auxiliary for main lectures. And, it was suggested that insert of learning objectives and diagnostic evaluation, composition of various contests, strength of organic network between the moving image and learning materials, realization of clear image and sound, active interaction, and an addition of
learning material download function, etc. should done in the next contents development.
목차
I. 서론
II. KOCW의 개요 및 강점
III. KOCW 초등기술교육 콘텐츠
IV. 콘텐츠 운영에 따른 만족도 비교 및 개선 방안
V.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아동의 착의습관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교육대학교 학생의 실과 아이디어 구상 활동에서 TRIZ기법의 활용 효과
- 융합인재교육을 위한 초등 실과 의생활교육 방안
- 일본의 초ㆍ중학교 주생활 학습내용 분석을 통한 새로운 관점 도출
- 녹색식생활교육을 통한 아동의 인성교육
- 생명존중의식에 기반을 둔 생명이해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발명영재의 창의성 요인구조 분석
- 초등학생의 발명에 대한 태도
- 초등학교 예비교사를 위한『초등기술교육』코스웨어 개발
- 대학의 다문화 관련 과목에서 가족을 중심으로 한 교양과목을 통한 다문화 인식 변화
- 초등기술기반 STEAM 교육이 초등학생의 기술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나만의 3D 입체 이미지 만들기’와 ‘QR코드로 명함 만들기’를 중심으로-
- 중학교 주생활 영역의 ‘녹색 실내환경 실천하기’ 수업이 녹색생활 의식과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발명영재의 개념 요소 고찰:
- 메타 데이터와 한글 스크립트 포스트프로세서를 이용한 로봇 활용 STEM 교육의 접근에 대한 연구
- RoS 모델 적용을 통한 실과중심의 로봇활용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