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카타르 한국어교육 교육과정 개발 방향 및 실행에 대한 소고 - 카타르 A학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Review of Curriculum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argeted at Qatari Learners : Based on Qatar School A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안한나(Hanna Ahn) 임호용(Hoyong L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4권 제2호, 81~10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카타르 학습자 및 아랍어권 학습자들을 위한 효과적인 한국어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카타르 A학교에서의 교육과정 개발 방향 및 실행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카타르 A학교다. 카타르 A학교에서의 한국어교육의 교육과정 개발은 크게 계획단계, 실행단계, 평가단계로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카타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의 교육과정 개발 방향 및 실행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들을 통해 아랍어권 학습자 대상의 한국어교육 방향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제시될 수 있다. 첫째, 학습자들은 문법 위주의 교육보다는 의사소통 즉, 말하기 위주의 교육을 선호하였기 때문에 이를 반영한 교육 목표 설정 및 교육 내용이 선정되어야 한다. 둘째, 교재는 아랍 문화가 반영되고 아랍어로 번역된 교재를 사용해야 한다. 셋째,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해서는 형성평가나 종합평가의 결과뿐만 아니라 학습자와의 지속적인 상담이나 교사 교육을 통한 피드백이 적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암기를 통한 학습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다양한 활동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져야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how effec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be developed for Qatari learners. To this end, it focuses on the direction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as well as its execution in Qatar School A. The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program at Qatar School A is mainly developed in three stages: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n analysis of the direction and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argeted at Qatari learners, helped identify preferences for learners in Arabic-speaking countries. First, as the learners preferred instruction centered on communication (i.e., speaking) rather than grammar, instructors suggest establishing learning goals and select lesson content that reflect this preference. Second, instructors prefer using textbooks that are localized to Arab culture and translated into Arabic. Third, for effective teaching-learning, in addition to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s, there must be a system in place to give continuous feedback and counseling to learners as well as instructor training at appropriate time. Finally, memorization-based learning is not advisable, and lessons must include various activities.
목차
1. 들어가기
2. 연구 방법
3. 카타르 A학교에서의 한국어교육 교육과정개발 방향 및 실행
4.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도네시아어-한국어 문학 번역의 오역
- 외국군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플립러닝 활용 언어문화 교육 방안 연구
- 청문회 담화의 종결어미 ‘-고요’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어휘 ‘우리’ 교육을 위한 고찰 - 『한국어기초사전』의 풀이말 검토를 중심으로
- 의사소통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교재의 학습활동 고찰
- 한국어 학습자의 토픽(TOPIK) 쓰기 오류 양상 - 53번 설명문 쓰기 중심으로
- 한국어 교육과정 학습 한국어의 언어 재료 탐구 - 역사 교과를 중심으로
- 중국의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 중국에서 출판된 문학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 동영상 제작 과제를 활용한 프로젝트 수업 연구 -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카타르 한국어교육 교육과정 개발 방향 및 실행에 대한 소고 - 카타르 A학교를 중심으로
- 태국 대학교 ‘비즈니스 한국어’교육 현황과 발전 방향 -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과정과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을 위한 문화 내용 연구 - 다문화예비학교와 다문화중점학교 교재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