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영상 제작 과제를 활용한 프로젝트 수업 연구 -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용수 4
- 영문명
- A Study on Project Lesson Using Video Production Assignments : For Advanced Learner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박환(Hwa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4권 제2호, 27~5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의 증가에 따라 다양한 교수 방법과 교육 자료의 개발이 시도되는 현재 한국어교육의 상황에서 한국어 고급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새로운 교수, 수업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그 방편으로 동영상 제작을 활용한 과제 중심의 프로젝트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동기를 부여하고 자기 주도 학습을 실현하게 할 수 있다. 자연스럽고 활발한 의사소통을 통해 언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프로젝트 수업은교육기관에서 진행되는 200시간의 정해진 정규수업 내에게 진행되기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교수해야 할 문법과 활동, 교수 내용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현실적인 교육 상황을 고려하여 교수자의 참여와 정규수업 시간의 할애를 최소화하는 형태의 프로젝트 수업을 기획하였으며, 교육기관의 200시간 한국어교육 6급 정규과정 중에서 교재의 영화 관련 단원 내용을 활용, 확장하여 2년 동안 총 11편의 동영상을 제작하는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그 동안 진행하였던 수업 내용을 바탕으로 동영상 제작 수업 모형을 제안하고 통상적인 200시간 정규수업 일정에 맞춘 세부 진행 과정과 내용, 수업 과정 중에서의 교수자 역할, 주의점 등에 대해 언급하였다. 또한 제작된 본 수업을 통해 제작된 동영상의 특징을 살펴보고 평가표를 작성하여 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실제 적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프로젝트 수업 사례를 살펴보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추후 객관적인 분석을 통한 학습자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discusses new teaching methods and lesson plans for advanced class learners of Korean language in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ere attempts are made to develop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materials along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s a means to achieve this goal, we proposed a task-oriented project lesson plan that utilizes video production, which can motivate learners to learn and enable them to realize self-directed learn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language ability through natural and active communication. Nonetheless, it is true that it is difficult for most of the project lessons to be conducted within the predetermined 200 hours of regular classes held by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is because there are grammar, activities, and teaching contents that need to be taught. Therefore, consideringthe realistic educational situation, we planned a project lesson that minimizes participation of teachers and regular class time. To this end, among the 200 hour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level 6 regular classes of university institutions, we used and expanded the contents of the units related to the movie in the textbook to conduct a class that can produce 11 videos within 2 year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video production lesson model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class that has been carried out so far, consideringthe details of the process and contents according to the usual 200-hour regular class schedule, and discussed the roles of teachers and precautions to be taken during the class. Furthermore,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deos produced through this class and filled in the evaluation table to suggest evaluation methods. This study holds a significance forexamining various forms of project lesson cases that are practically applicable, and it proposes that research on the educational effect of learners should be conducted through objective analysis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과제 형태의 프로젝트 수업
3. 제작 과제 프로젝트 수업의 구성과 내용
4. 제작 과제 프로젝트 수업의 실제
5. 제작 과제 프로젝트 수업의 평가
6. 결론과 제안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도네시아어-한국어 문학 번역의 오역
- 외국군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플립러닝 활용 언어문화 교육 방안 연구
- 청문회 담화의 종결어미 ‘-고요’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어휘 ‘우리’ 교육을 위한 고찰 - 『한국어기초사전』의 풀이말 검토를 중심으로
- 의사소통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교재의 학습활동 고찰
- 한국어 학습자의 토픽(TOPIK) 쓰기 오류 양상 - 53번 설명문 쓰기 중심으로
- 한국어 교육과정 학습 한국어의 언어 재료 탐구 - 역사 교과를 중심으로
- 중국의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 중국에서 출판된 문학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 동영상 제작 과제를 활용한 프로젝트 수업 연구 -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카타르 한국어교육 교육과정 개발 방향 및 실행에 대한 소고 - 카타르 A학교를 중심으로
- 태국 대학교 ‘비즈니스 한국어’교육 현황과 발전 방향 -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과정과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을 위한 문화 내용 연구 - 다문화예비학교와 다문화중점학교 교재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