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사소통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교재의 학습활동 고찰
이용수 8
- 영문명
- A Study on Learning Activities in Korean Textbooks on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이미향(Mihya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4권 제2호, 255~28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의 학습활동이 학습자의 능동성을 충분히 고려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능동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활동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사회문화적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검토하고, 주제와 담화 유형 그리고 사회문화적 요소의 관련성을 논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활동의 주제가 사회문화적으로 적합하면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에서 특히 교재의 학습활동이 단원의 주제와 관련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밝혔다. 명확한 주제는 곧 학습자의 언어사용 활동에서 명료한 목표가 된다. 학습활동이 단원의 주제와 맞지 않으면, 주제가 쓰이는 담화의 사회문화적 전형성도 확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훈련에 적합한 활동을 만들어 내지 못한다. 자기소개·전화·주문 등의 주제가 사회문화적 정보를 비교적 분명히 제공하고 있는 데 반해, 여가, 교육, 건강 등의 주제에서는 사회문화적 소통이 전형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if learning activities in Korean textbooks consider the activeness of learners sufficiently. For this, the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ociocultural communication and discussed topics, types of discourse,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ocultural elements. As a result, it was implied that if the topic of a learning activity is suitable socio-culturally, it can induce active participation in learners.In particular, it was revealed that it is important to relate learning activities in textbooks to the topics of textbook chapters. A definite topic becomes a clear goal in a learner's language-use activity. If a learning activity does not use the topic of a chapter suitably, it is unable, not only to secure sociocultural authenticity, but also to make an activity suitable for use in trainin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opics such as self-introduction, making a call, ordering, etc. offer sociocultural information relatively clearly.
목차
1. 서론
2. 언어 교재에서 학습활동의 가치
3. 사회문화적 소통과 언어활동의 주제 범주
4. 사회문화적 전형성으로 본 학습활동의 변천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도네시아어-한국어 문학 번역의 오역
- 외국군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플립러닝 활용 언어문화 교육 방안 연구
- 청문회 담화의 종결어미 ‘-고요’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어휘 ‘우리’ 교육을 위한 고찰 - 『한국어기초사전』의 풀이말 검토를 중심으로
- 의사소통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교재의 학습활동 고찰
- 한국어 학습자의 토픽(TOPIK) 쓰기 오류 양상 - 53번 설명문 쓰기 중심으로
- 한국어 교육과정 학습 한국어의 언어 재료 탐구 - 역사 교과를 중심으로
- 중국의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 중국에서 출판된 문학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 동영상 제작 과제를 활용한 프로젝트 수업 연구 -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카타르 한국어교육 교육과정 개발 방향 및 실행에 대한 소고 - 카타르 A학교를 중심으로
- 태국 대학교 ‘비즈니스 한국어’교육 현황과 발전 방향 -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과정과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을 위한 문화 내용 연구 - 다문화예비학교와 다문화중점학교 교재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