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의 토픽(TOPIK) 쓰기 오류 양상 - 53번 설명문 쓰기 중심으로
이용수 23
- 영문명
- A Study on TOPIK Writing Error Patterns among Korean Learners : Focusing on Expository Writing of No.53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이명화(Myeunghwa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4권 제2호, 231~25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어능력시험(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 TOPIK)의 쓰기영역의 53번 작문을 분석한 것을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토픽 글쓰기의 오류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은 어학원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3급은 토픽 53번 시험의 유형을 배우지 않았고, 4급은 교재를 통해 한 번 배웠고, 5급은 4급을 수료하였으며, 토픽에 응시한 경험도 있다. 연구 결과 토픽 53번 글을 쓰기 전에 평가 기준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평가 기준 내용 및 과제 수행, 글의 전개구조와 담화표지, 문어적 표현 그리고 한국어의 형태와 의미론적인 교수-학습이 충분한 연습과 더불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시간 관리를 전략적으로 계획해야 하고, 토픽 53번과 비슷한 유형의 글쓰기를 반복적으로 연습하고, 써보고, 피드백을 받고, 다시 써보는 과정이 토픽 쓰기 능력을 높이는데 필수적인 방법이다. 학습자들의 글에서 조사의 오류가 3급, 4급, 5급에 걸쳐 폭넓게 나타나므로 조사에 대한 교육이 초급, 중급, 고급에서 그 수준에 맞게 재편성되어야 하고 단계별로 문맥 속에서 익힐 수 있도록 교재의 수정도 불가피하다. 4급 학습자의 작문1과 작문2를 비교한 결과 오류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므로 똑같은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면대면 피드백이 이루어져야 하고 고쳐 쓴 것을 다시 확인해야 한다. 본 연구는 보다 많은 작문으로 더 신뢰성 높은 결과를 만들지 못한 한계가 있지만, 토픽 작문의 오류 양상을 분석하고 토픽 시험 대비 교수-학습에 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cases of Composition No. 53 i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and identify error patterns among Korean learners. The subjects included language school students. Grade 3 students were first exposed to Composition No. 53 officially; those in Grade 4 were taught it once; and those in Grade 5 were taught it twice or more. Findings reveal that education regarding the evaluation criteria of students before they begin writing for TOPIK No. 53 is required. The students should receive sufficient practice and repetition regarding the evaluation criteria content and performance of tasks, the developmental structure of a text and discourse markers, expressions in written language, and morphologic and semantic teaching and learning of Korean. In addition, they need to develop a strategic time management plan. To improve TOPIK writing abilities it is essential to repeatedly practice writing similar forms of TOPIK No. 53, receive feedback, and attempt writing again. Given the broad postposition distribution among Grades 3, 4, and 5, it calls for reorganizing postposition education according to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This inevitably implies revision of teaching materials to ensure students learn postpositions in stage-appropriate contexts. Grade 4 learners’ Composition 1 was compared with their Composition 2; results indicate that they should receive personal feedback to prevent repeating errors and have their compositions rechecked after rewriting. This study was limited in that it failed to generate reliable results with additional composition cases, but is significant as it analyzes the error patterns in TOPIK compositions and proposes teaching and learning directions to prepare for TOPIK more effectively.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분석 대상과 방법
4. 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도네시아어-한국어 문학 번역의 오역
- 외국군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플립러닝 활용 언어문화 교육 방안 연구
- 청문회 담화의 종결어미 ‘-고요’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어휘 ‘우리’ 교육을 위한 고찰 - 『한국어기초사전』의 풀이말 검토를 중심으로
- 의사소통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교재의 학습활동 고찰
- 한국어 학습자의 토픽(TOPIK) 쓰기 오류 양상 - 53번 설명문 쓰기 중심으로
- 한국어 교육과정 학습 한국어의 언어 재료 탐구 - 역사 교과를 중심으로
- 중국의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 중국에서 출판된 문학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 동영상 제작 과제를 활용한 프로젝트 수업 연구 -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카타르 한국어교육 교육과정 개발 방향 및 실행에 대한 소고 - 카타르 A학교를 중심으로
- 태국 대학교 ‘비즈니스 한국어’교육 현황과 발전 방향 -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과정과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을 위한 문화 내용 연구 - 다문화예비학교와 다문화중점학교 교재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