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도네시아어-한국어 문학 번역의 오역
이용수 0
- 영문명
- Mistranslations in Indonesian-Korean literature translation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전태현(Taihyun Chu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4권 제2호, 283~31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인도네시아어-한국어(이하 인-한) 문학 번역에서 관찰되는 오역을 유형별로 고찰하는 것이었다. 또한 언어학적 분석이 보다 합당한 번역물을 산출하는 기본 바탕이라는 것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특히 본고는 인도네시아 대문호 우마르 카얌(Umar Kayam)의 중편소설 “Sri Sumarah”, 목타르 루비스(Mochtar Lubis)의 종군기“Tjatatan Korea”, 그리고 인도네시아 문학 관련 네 편의 논문 속에 나타난 예들을 대상으로 인-한 문학 번역의 오역 사례들을 찾아보았다. 이를 위해 인-한 오역 사례들을 단어, 조어법, 통사적 구조, 생략, 그리고 추가 등 다섯 가지의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인-한 문학 번역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언어학적 분석이 합당한 인-한 번역을 추구하는 데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types of mistranslations found in Indonesian-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and suggests that linguistic analysis is essential for a more appropriate translation. Specificall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ollowing existing translations: (1) a novelette called Sri Sumarah, written by the prominent Indonesian novelist Umar Kayam; (2) a war record, Tjatatan Korea, written by the Indonesian novelist Mochtar Lubis; and (3) examples in four articles of modern Indonesian literature.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 that there are five types of mistranslations in Indonesian-Korean translations, namely word, word formation, syntactic structure, omission of content, and addition of content. With regard to the types of mistranslations, this study suggests solutions that may improve the quality of Indonesian-Korean translations, and consequently concludes that linguistic analysis is undeniably important to facilitate appropriate Indonesian-Korean translation.
목차
1. 머리말
2. 분석 대상 및 분석 방법
3. 인-한 문학 번역의 오역 사례 분석
4. 논의
5. 마무리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도네시아어-한국어 문학 번역의 오역
- 외국군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플립러닝 활용 언어문화 교육 방안 연구
- 청문회 담화의 종결어미 ‘-고요’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어휘 ‘우리’ 교육을 위한 고찰 - 『한국어기초사전』의 풀이말 검토를 중심으로
- 의사소통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교재의 학습활동 고찰
- 한국어 학습자의 토픽(TOPIK) 쓰기 오류 양상 - 53번 설명문 쓰기 중심으로
- 한국어 교육과정 학습 한국어의 언어 재료 탐구 - 역사 교과를 중심으로
- 중국의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 중국에서 출판된 문학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 동영상 제작 과제를 활용한 프로젝트 수업 연구 -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카타르 한국어교육 교육과정 개발 방향 및 실행에 대한 소고 - 카타르 A학교를 중심으로
- 태국 대학교 ‘비즈니스 한국어’교육 현황과 발전 방향 -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과정과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을 위한 문화 내용 연구 - 다문화예비학교와 다문화중점학교 교재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