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교육과정 학습 한국어의 언어 재료 탐구 - 역사 교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2

영문명
Exploring Language Materials for Academic Korean in the KSL Curriculum : A Focus on History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신범숙(Beomsuk Shin)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4권 제2호, 51~7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교 역사 교과를 중심으로 다문화 학생들의 내용 영역 문식력 향상을 위한 학습 한국어의 언어 재료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교육 과정에서 제시하는 언어 재료의 내용 구성 및 제시 항목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교육과정의 언어 재료는 구어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로 초급과 중급 단계에 집중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학습 한국어의 언어 재료로 제시되고 있는 어휘는 교과 학습의 목표가 되는 개념어들로 구성되어 있어, 내용교과의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 내용으로 활용되기 어렵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역사 교과를 중심으로, 학문적 문식성을 제고하는 데 유효한 어휘와 문법의 탐색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중학교 역사 교재를 입력하여 구축한 총 43,252어절의 말뭉치 분석을 통해 역사 교과의 고빈도 어휘를 추출하였다. 또한 4종의 교재 텍스트를 분석하여 역사 교과 언어의 통사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 학습 한국어의 교육 내용으로 포함해야 할 구체적인 어휘와 문법 교육 내용을 밝힐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or improving content area literacy among multicultural students, focusing on middle school history.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we examined the list of language materials provided in the current KSL curriculum.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language materials presented in the appendix to the KSL curriculum consist mainly of spoken language materials, which largely focus on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s. We therefore tried to find vocabulary and grammar that would be effective in improving disciplinary literacy, focusing on middle school history. We also extracted high frequency vocabulary in history subjects by analyzing the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 corpus, which consists of 43,252 word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sentences within this subject by extracting and analyzing texts of four kinds of textbooks. As a result, we extracted high frequency vocabulary and compiled a list of grammatical constructions used in history.

목차

1. 연구의 목적 및 대상
2. 한국어 교육과정의 체계와 내용
3. 학습 한국어 언어 재료 탐색의 기준
4. 학습 한국어의 언어 재료 탐색: 역사 교과를 중심으로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범숙(Beomsuk Shin). (2017).한국어 교육과정 학습 한국어의 언어 재료 탐구 - 역사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14 (2), 51-79

MLA

신범숙(Beomsuk Shin). "한국어 교육과정 학습 한국어의 언어 재료 탐구 - 역사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14.2(2017): 51-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