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시간 다대면 온라인 한국어 강의에서 모국어 사용 여부와 숙달도에 따른 차이 - 매체 효능감과 실재감, 수업만족도를 중심으로
이용수 8
- 영문명
-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primary language use and level of proficiency in interactive synchronous online Korean language classes : Their effects on media efficacy, the presence of learners and the satisfaction level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이해영(Haiyoung Lee) 정혜선(Hyeseon 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7권 제2호, 129~14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교육 환경의 변화에 따라 각자의 생활공간에서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교사 및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실시간 다대면 온라인 한국어 강의가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강의를 수강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화상회의 플랫폼을 이용한 수업에서 느낀 매체 효능감, 실재감, 수강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매체 효능감과 실재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수업에서의 모국어 사용 여부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모국어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숙달도가 변인으로 작용하는지 살펴 보았다. 마지막으로 매체 효능감과 실재감, 수강 만족도 간의 상관 관계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국외의 모국어 사용 환경에서 강의를 수강한 초급 학습자와 국내 모국어 미사용 환경에서 강의를 수강한 초급 및 중급 학습자 6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실시간 다대면 온라인 한국어 강의에서 모국어 사용 여부와 숙달도는 매체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가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초급 학습자의 경우 모국어를 사용하는 것이 매체 효능감 향상에 도움이 되었는데 매체 효능감이 수강 만족도와 상관성이 높았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숙달도가 높을수록 매체 효능감과 실재감이 높아진다는 점, 그리고 매체 효능감과 실재감이 높을수록 수강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시간 다대면 온라인 강의는 중급으로 갈수록 더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7-2, 129-150. In line with the recent challenges to traditional educational environments,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learners are interact from their own living spaces through synchronous online class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media efficacy, presence and course satisfaction of learners from classes utilizing video conferencing platforms. While the use of primary language in class is the main variable influencing the media efficacy and presence of the learners, the proficiency level of learners also becomes a variable when primary language use is not allowed. Finally, the effect of media efficacy and presence on class satisfaction was discussed. The subjects of this survey were novice Korean language learners in foreign countries who were using their primary language in the classroom and 61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 learners in Korea who were not allowed to use their primary language in the classroom. The results of this survey show that the use of primary language and the level of proficiency of learners are important variables that influence media efficacy and presence in interactive synchronous online Korean language classes.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media efficacy, presence and class satisfaction. Thus, improving the media efficacy and presence of learners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teractive synchronous online Korean language classes.(Ewha Womans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말뭉치 기반 한·중 시간 개념화 양상 대조 연구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모국어 전이 예측 가능성 연구 - 베트남어 ‘ăn’과 한국어 ‘먹다’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실습 교안 작성 지도를 위한 기초 연구
- 호주 대학의 한국학 현황과 과제
- 해외 단기 실습 사전 훈련을 통한 한국어 예비 교원의 성장 연구 - 사이버대학 학생의 훈련 일지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情’ 은유에 관한 시론 - 초코파이 광고를 중심으로
- 실시간 다대면 온라인 한국어 강의에서 모국어 사용 여부와 숙달도에 따른 차이 - 매체 효능감과 실재감, 수업만족도를 중심으로
- 한국어번역 학습자의 기계번역 결과에 대한 수정(Post Editing)능력 분석 - 중국어권 학습자의 MT-PE 실험을 중심으로
- 몽골 초중고등학교의 스마트교실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 실시간 온라인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및 만족도 연구 - 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