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시간 온라인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및 만족도 연구 - 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8

영문명
A Study on Learner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Levels of Real-Time Online Learning : Focusing on the case of Korean language program at D University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최정선(Jungsun Choi) 권미경(Meekyung Kwon) 최은경(Eun-Kyung Choi)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7권 제2호, 247~27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실시간 온라인 학습에 참여한 한국어 교육기관의 학습 자가 온라인 학습에 대해 가지는 인식과 만족도를 분석하여 실시간 온라인 학습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D대학교 한국어 교육 기관의 학습자 96명을 대상으로 실시간 온라인 학습에 대한 기대도, 만족도, 선호도, Webex 프로그램·학습 기기·수업 에 대한 인식, 참여도,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어려움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시간 온라인 학습 시스템 활용의 용이성, 교수자들이 제공하는 콘텐츠, 상호작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 등이 학습자들의 학습 만족도를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자들은 학습에서 수동 적인 역할을 수행했고 학습 참여도도 높지 않았다. 따라서 학습자가 실시간 온라인 학습 상황에서도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고 참여할 수있는 역할을 부여할 수 있는 콘텐츠와 활동 개발, 상호작용 활성화 전략, 학습자들의 동기 유발 방법과 참여도를 높이는 방법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학습 기기로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므로 휴대폰에 적합한 수업 콘텐츠와 수업 전략의 개발도 필요하다.후속 연구를 위해 실시간 온라인 학습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에 대한심층 인터뷰, 대학부설 한국어기관 학습자뿐만 아니라 학부 학생을 포함한 다양한 온라인 학습 수요자에 대한 비교 연구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7-2, 247-27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 of real-time online learning by analyzing the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levels of learner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al program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96 learner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at D University to find out the levels of their expectation,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n the virtual classes, their perceptions on Webex program, learning device, and class progress, their class participation, and the difficulties they had in the class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ase of using the real-time online learning system, contents provided by instructors, and strategies for activating interactions increased the learner satisfaction levels. However, learners played a passive role in learning, and their participation in classes was not high. Therefore, we proposed the development of contents and activities that can giv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nd participation in real-time online learning situations, activating strategies for interactive learning, and ways to increase learners'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In addition, there were students experiencing difficulties when using a mobile phone as a learning device, so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class content and a teaching strategy suitable for them. For follow-up studies, we also suggested in-depth interviews on real-time online learning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nd comparative studies on various online learning consumers including undergraduate students as well as learners of Korean institutions affiliated with universities were proposed.(Dongguk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및 연구결과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정선(Jungsun Choi),권미경(Meekyung Kwon),최은경(Eun-Kyung Choi). (2020).실시간 온라인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및 만족도 연구 - 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17 (2), 247-277

MLA

최정선(Jungsun Choi),권미경(Meekyung Kwon),최은경(Eun-Kyung Choi). "실시간 온라인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및 만족도 연구 - 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17.2(2020): 247-2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