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교육실습 교안 작성 지도를 위한 기초 연구
이용수 64
- 영문명
- Basic Research on Teaching of Lesson Planning in Korean Practicum Clas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구민지(Minji Koo) 박소연(Soyeo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7권 제2호,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필수 교과목인 ‘한국어교육 실습’에서의 효과적인 교안 작성 지도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교육학계에서 제시하는 교안 작성의 원칙을 종합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안 분석틀을 설정하여 예비 한국어교원의 교안을 분석한 후 부족한 점을 파악해 보았다. ‘전체 구성, 교사말, 상호작용’의 3개 대범주, 21개 세부 항목으로 교안 분석틀을 마련하였으며, 2명의 평가자가 학점은행제 수강생들이 작성한 129개의 교안을 분석하였고 두 평가자간 신뢰도 검증을 위해 SPSS 25를 이용하여 Cohen’s Kappa 계수를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교원들은 숙제 제시, 오류 수정과 피드백 제공, 의미 제시에서 가장 취약함을 나타내었 으며 특히 목표 문형의 의미를 정확하고 적절하게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를 드러내었다. 이렇게 각 항목별로 드러난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교안 작성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7-2, 1-28, In this study, primary research was conducted on how to teach lesson planning to Korean practicum classes. As suggested by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cademic community, the principles of drafting teaching plans were synthesized. The lesson plans of preliminary teachers of the credit bank system were analyzed for deficiencies. The lesson plan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1. Total Composition; 2. Teacher Language, and; 3. Interaction. Twenty-one specific items were prepared to analyze the lesson plans, and two appraisers analyzed 129 plans compiled by credit bank students. A Cohen's Kappa coefficient was performed using SPSS 25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appraisers. An analysis of the results indicated that preliminary teachers were the most challenged with homework assignments, error correction, feedback, and presentations. Based on the problems revealed by each item, a specific teaching method for lesson planning was suggested.(Catholic University)
목차
1. 들어가는 글
2. 선행연구
3. 교안 분석 방법
4. 분석 결과 및 지도 방안
5. 나오는 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말뭉치 기반 한·중 시간 개념화 양상 대조 연구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모국어 전이 예측 가능성 연구 - 베트남어 ‘ăn’과 한국어 ‘먹다’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실습 교안 작성 지도를 위한 기초 연구
- 호주 대학의 한국학 현황과 과제
- 해외 단기 실습 사전 훈련을 통한 한국어 예비 교원의 성장 연구 - 사이버대학 학생의 훈련 일지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情’ 은유에 관한 시론 - 초코파이 광고를 중심으로
- 실시간 다대면 온라인 한국어 강의에서 모국어 사용 여부와 숙달도에 따른 차이 - 매체 효능감과 실재감, 수업만족도를 중심으로
- 한국어번역 학습자의 기계번역 결과에 대한 수정(Post Editing)능력 분석 - 중국어권 학습자의 MT-PE 실험을 중심으로
- 몽골 초중고등학교의 스마트교실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 실시간 온라인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및 만족도 연구 - 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