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몽골 초중고등학교의 스마트교실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이용수 10
- 영문명
-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Smart Classrooms in Mongolia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조항록(Hangrok Cho) 정혜란(Hyeran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7권 제2호, 185~21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몽골 내 초중고등학교 한국어 스마트러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국외 한국어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한국어 스마트러닝의 유용성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러닝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몽골 내 초중고등학교의 한국어 스마트러닝의 주요 구성요소와 학습 효과성을 논하였다. 한국어 스마트러닝의 구성요소로서는 스마트러닝 기기를 중심으로 하는 스마트교실, 한국어 스마트러닝 콘텐츠와교수 방법, 그리고 한국어 스마트러닝을 담당하는 교사 요인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효과성 논의를 위하여 1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종합할 때 몽골 내 초중고등학교의 한국어 스마트러닝의 구성요소는 비교적 무난하게 갖추어져 있고 학습 효과 역시 비교적만족스러웠다. 다만 학습 효과성 논의에서 최근의 특수한 사회적 상황 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사이의 학습 효과 대비를 진행하지 못한 한계가 있음을 스스로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몽골 내 초중고등학교의 한국어 스마트러닝은 몽골 내 한국어교육 규모를 키우는 데에 분명히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국외 초중고등 학교 한국어 학습자에게 적용 가능한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사례가될 수 있다고 본다.
영문 초록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7-2, 185-216. This paper aims to provide an overview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Mongolia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at use smart learning and to examine the usefulness of smart learn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KFL environment as a new teaching-learning paradigm. This study reviewed theoretical studies of smart learning and discussed its main components and learning effectiveness in the Korean language in Mongolia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s components of smart learning in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focused on smart classrooms, which are composed of smart learning devices, smart learning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s, and teacher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also surveyed 15 teacher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o discuss the effectiveness of smart classrooms. To summarize these discussions,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Mongolia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has proper components, and a relatively satisfactory learning effect. However, we are compelled to point ou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hich did not include a comparison of learning effect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owing to the special recent circumstances. Smart learning of the Korean language in Mongolia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has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Mongolia. It is considered a new educational paradigm that can be applied to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broad.(Sangmyung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스마트러닝의 교수 방법과 콘텐츠
4. 몽골 한국어 스마트러닝의 실제
5. 몽골 한국어 스마트러닝의 성과와 한계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말뭉치 기반 한·중 시간 개념화 양상 대조 연구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모국어 전이 예측 가능성 연구 - 베트남어 ‘ăn’과 한국어 ‘먹다’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실습 교안 작성 지도를 위한 기초 연구
- 호주 대학의 한국학 현황과 과제
- 해외 단기 실습 사전 훈련을 통한 한국어 예비 교원의 성장 연구 - 사이버대학 학생의 훈련 일지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情’ 은유에 관한 시론 - 초코파이 광고를 중심으로
- 실시간 다대면 온라인 한국어 강의에서 모국어 사용 여부와 숙달도에 따른 차이 - 매체 효능감과 실재감, 수업만족도를 중심으로
- 한국어번역 학습자의 기계번역 결과에 대한 수정(Post Editing)능력 분석 - 중국어권 학습자의 MT-PE 실험을 중심으로
- 몽골 초중고등학교의 스마트교실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 실시간 온라인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및 만족도 연구 - 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