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정도가 영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9

영문명
Mother's Smartphone Usage Impact on Playfulness and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s
발행기관
한국아동부모학회
저자명
박현숙(Hyunsook Park) 김수향(Soohyang Kim)
간행물 정보
『아동부모학회지』제10권 2호, 5~3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정도가 영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적 능력에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경북 P시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1세~5세 영유아와 그들의어머니 각각 263명이다. 자료수집은 2021년 12월10일~2022년 1월29일까지 어머니의스마트폰 사용정도는 어머니 자가진단 척도로 측정하였고, 영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적 능력은 담임교사가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정도의 일상생활 장애와 내성은 영유아의 놀이성에 부정적 영향, 특히 일상생활 장애와 내성은 놀이성의 하위요인 신체적, 사회적, 인지적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에 모두 부정적 영향, 가상세계지향성은 놀이성의하위요인 유머감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정도 하위요인 중 일상생활 장애, 가상세계지향성과 내성은 영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 장애와 내성은 영유아의 사회적 능력 주도성, 협조성, 사교성에 모두 부정적 영향, 가상세계지향성은 협조와 사교성, 금단은 협조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론: 본 연구결과 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 정도가 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적 능력에 중요한영향을 미친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infants and youngchildren’s playfulness and social competence sccording to the frequency ofmothers' smartphone usage.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63 infants and young children’aged 1 to 5 andtheir mothers attending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located in P-si,Gyeongsangbuk-do.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0, 2021 to January 29,2022. Mothers' smartphone use was measured using the mother's self-diagnosisscale, and infants' playfulness and social competences were measured by theirhomeroom teachers. Results: First, mothers' usdaily life difficulties and tolerance due to smartphone usage have anegative impact on infants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In particular, daily lifedifficulties and tolerance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subfactors of playfulness,such as physical, social, and cognitive spontaneity, expression of enjoyment, andsense of humor. All had negative effects, and virtual world orientation appeared tohave a negative effect on sense of humor, a subfactor of playfulness. Second,among the sub-factors of mothers' smartphone usage, daily life disorders, virtualworld orientation, and tolerance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infants and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s. Daily life disorders and tolerance were foundto have a negative impact on infants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sinitiative, cooperation, and sociability, virtual world orientation had a negative effecton cooperation and sociability, and withdrawal had a negative effect on coopera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a mother's level ofsmartphone us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hildren's playfulness and social competenc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현숙(Hyunsook Park),김수향(Soohyang Kim). (2024).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정도가 영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부모학회지, 10 (2), 5-30

MLA

박현숙(Hyunsook Park),김수향(Soohyang Kim). "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정도가 영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부모학회지, 10.2(2024): 5-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