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 교사의 디지털 역량과 디지털 놀이 지원역량과의 관계에서 디지털 기술 활용태도의 매개효과
이용수 122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ttitude of Using Digital Technolog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gital Competency and the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of Young Children’s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아동부모학회
- 저자명
- 김정수(Jungsoo Kim) 안지령(Jiyoung Ahn)
- 간행물 정보
- 『아동부모학회지』제10권 2호, 55~8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교사의 디지털 역량과 디지털 놀이 지원역량 간의 관계를규명하고, 디지털 기술 활용태도가 이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D와 K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유아 교사 2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에 210명의 응답을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7.0과 PROCESS MACRO v4.3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 교사의 디지털 역량, 디지털 기술 활용태도, 디지털 놀이 지원역량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 교사의 디지털 역량과디지털 놀이 지원역량간의 관계에서 디지털 기술 활용태도의 부분 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영유아 교사의 디지털 역량이 디지털 기술 활용태도를 매개하여 디지털 놀이 지원역량을 강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론: 영유아 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디지털 관련 교육을 다양하게 제공하고 디지털 역량을 충분히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영유아 교사가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여 긍정적인 디지털 기술 활용태도를 가지는 것이 질 높은유아교육을 위한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gital competencyand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of young children’s teachers, and to verify themediating effect of digital technology use attitude on this relationship.
Methods: As for the subject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224 young children’s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areas D and K, of which210 responses were finally analyz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pss 27.0and PROCESS MACRO v4.3.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igital competency of youngchildren’s teachers, the attitude of using digital technology, and the competency of digitalplay support. Seco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the attitude of using digital technology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gital competency and the digital play supportcompetency of young children’s teachers. This means that the digital competency ofyoung children’s teachers strengthens the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by mediatingthe attitude of using digital technology.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digital play support capabilit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t isimportant to provide various digital-related education and to sufficiently develop digitalcapabilities.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the use of digital media by young children’steachers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using digital technology is an importantfactor for high-qual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연령별 용서 개념 발달과 그에 따른 사회성과 인지발달과의 차이
-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중학교 2학년 학생의 여가추구형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 영유아가 체험한 어린이집 교실의 의미
- 유아교사의 현장학습 안전관리 현황과 인식
- 부모-아동 상호작용훈련이 중도ㆍ중복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술에 미치는 효과
- 학교현장실습 운영 실제에 대한 H대학 3학년 실습참여 예비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 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정도가 영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 교사의 디지털 역량과 디지털 놀이 지원역량과의 관계에서 디지털 기술 활용태도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