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현장실습 운영 실제에 대한 H대학 3학년 실습참여 예비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이용수  37

영문명
Perceptions and demands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ing in third-year training at University H regarding the actual operation of school field training
발행기관
한국아동부모학회
저자명
고지민(jimin Ko) 김현정(hyunjung Kim)
간행물 정보
『아동부모학회지』제10권 2호, 157~17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H대학 교육실습을 종료한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 이를 반영한 교육실습모형 개발을 위한 방향을 설정함으로써 예비 교사들의 실습 경험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데 연구목적이있다. 연구방법: 예비유아교사 54명을 대상으로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관한 설문조사를실시하였고, 최종 50명의 자료를 빈도와 백분율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운영 실제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해 실습지도내용과 활동개수 선정기준, 참관수업 운영, 사전실습 운영, 흥미영역 수업 운영, 대집단활동실습운영, 실무내용 지도 운영, 사후실습 운영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인식과 요구에 있어 차이가 있었다. 예비유아교사는 대학과 실습기관 공동기준 마련,사전실습 필요, 참관수업 운영, 흥미영역과 대집단활동에 대한 실습 내용 요구, 실무내용의 다양한 요구, 사후실습 필요로 나타났다. 연구결론: 학교현장실습은 준비단계에서 공동기준마련, 사전실습 프로그램 개발, 실행단계에서참관수업 강화, 흥미영역 실습 다양화, 대집단활동 실습 강화, 실무내용 지도 강화,평가 및 보완단계에서 사후실습의 체계화가 필요함을 인식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토대로 학교현장실습의 질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개선해야 하며, 이를 통해 유아교육의 전반적인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a way to more effectively support the practiceexperience of prospective teachers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schoolfield practice and setting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actice modelreflecting it for prospective teachers who have completed educational practice at HUniversity. Methods: A survey conducted a survey on 54 people in school field practice and demand for54 people, and the final 50 data was analyzed through empty and percentage of thefinal 50 data. Resul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erception and demand of pre-child teachers on the actualeducational practice operation, in terms of training instruction content and activity numberselection criteria, observation class operation, pre-practice operation, interest area classoperation, large group activity practice operation, practical content guidance operation,and post-practice opera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overall perception and demand. Pre-child teachers were found to have established joint standards between universitiesand practice institutions, required prior practice, operation of observation classes, requiredpractice content for interest areas and large group activities, various demands for practicalcontent, and required post-practice. Conclusion: The school field humidification was necessary to recognize the cooperation, preliminarypractice program development, preliminary practice, and implementation of theperformance system practice, and implementation of practical content guidance.Basedon the research results, it must continue to manage the quality of school field practice,and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infants education can contribute to improve overallquality of infants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지민(jimin Ko),김현정(hyunjung Kim). (2024).학교현장실습 운영 실제에 대한 H대학 3학년 실습참여 예비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아동부모학회지, 10 (2), 157-179

MLA

고지민(jimin Ko),김현정(hyunjung Kim). "학교현장실습 운영 실제에 대한 H대학 3학년 실습참여 예비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아동부모학회지, 10.2(2024): 157-1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