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수업에서 심층학습을 위한 플립드 러닝 설계원리 개발
이용수 66
- 영문명
- Development of a flipped-learning instructional theory for deep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신선애(Sunae Shin) 송해덕(Hae-Deok Song)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90집, 181~21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에서 심층학습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연구결과 를 종합하여 적용하여 교수자가 플립드 러닝 설계를 효율적,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심층학습을 위한 플립드 러닝 설계원리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설계원리 개발 및 타당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로 4개의 지원요소와, 9개의 하위원리, 27개의 세부지침이 도출되었다. 개발된 설계원리를 적용한 결과 교수자는 체체적 설계가 가 능하여 학습 참여 및 흥미 유발에서 긍정적 인식을 보였으며, 학습자는 심층학습 경험 에서 평균 4.3이상, 지각된 학업 성취도와 학업만족도에서 4.6이상의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study is to develop a flipped-learning design principle to help instructors do design efficiently and effectively by synthesizing and apply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ults of in deep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The final design principles of flipped-learning for deep learning were the principle of providing positive environment, learning environment flexibility, intrinsic motivation,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social knowledge construction, high order cognition and elaboration, integrated evaluation, transfer and extension of learning. The design principle developed in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design at each stage of flipped-learning. And, instructors are able to systematically prepare for complex learning environments and teaching strategies. So, learner perform deep learning. Recommendations for model field utilization and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공지능과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윤리문제 탐구를 중심으로 하는 이해와 인식의 인공지능 윤리학
- 교육연구 제90집 목차
- 레젤스키 프락시컬 음악교육을 적용한 앙상블 프로그램 및 지도방안 개발
- 델파이 조사에 따른 수학·과학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 저작도구의 정의와 구성체계 탐색 연구
- 맹자 심신관계론의 윤리학적 의미와 그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 과학사를 활용한 NOS(Nature of Science) 수업이 예비 생물교사의 과학 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폭력의 문제에 대한 도덕과 교수-학습 및 평가 방안: 소설 『코끼리』 활용을 중심으로
- ‘온돌’의 교과 연계 적용과 그 도덕 교육적 가치에 관한 연구
- 학교현장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들의 역량 향상에 대한 기대와 성취도 분석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백워드 설계 기반의 한국어 쓰기 단원 개발 방안 탐색
- 마이크로전공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교수, 학생 인식조사
- 대학생의 입학전형별 취업률 분석: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수업에서 심층학습을 위한 플립드 러닝 설계원리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