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입학전형별 취업률 분석: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31
- 영문명
- Analysis of Employment Rates by University Admission Types: A Case Study of S University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강지영(Jiyoung Kang) 이규빈(Kyubin Lee)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90집, 215~23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입학전형과 취업률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도권 소재 S대학에서 제공한 최근 3년 졸업생 (2020-2022학년도)의 취업 자료를 대상으로 세부 입학전형별 취업률의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시와 수시를 막론하고 실기전형 입학생의 취업률이 다른 전형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취업률을 졸업연도별로 구분해 서 분석했을 때, 2020학년도와 2021학년도 졸업생의 경우 정시와 수시 모두 실기전형 으로 입학한 학생들의 취업률이 타 세부전형에 비해 높은 것으로 확인되지만, 2022학 년도에는 이 패턴이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수시전형 내에서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 이 학생부교과전형 입학생보다 높은 취업률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admission types and employment rates. To achieve this, employment data from graduates over the past three years (academic years 2021-2023) provided by S Univers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cross-analyzed based on specific admission typ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regular or early admission, students admitted through performance-based exams had the highest employment rates compared to other types. Second, when analyzing employment rates by graduation year, it was found that graduates from the academic years 2020 and 2021 admitted through performance-based exams had higher employment rates than those admitted through other specific types, but this pattern was not observed for the 2022 graduates. Third, within the early admission category, students admitted through comprehensive student records had higher employment rates than those admitted through academic record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employment support policies in higher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공지능과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윤리문제 탐구를 중심으로 하는 이해와 인식의 인공지능 윤리학
- 교육연구 제90집 목차
- 레젤스키 프락시컬 음악교육을 적용한 앙상블 프로그램 및 지도방안 개발
- 델파이 조사에 따른 수학·과학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 저작도구의 정의와 구성체계 탐색 연구
- 맹자 심신관계론의 윤리학적 의미와 그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 과학사를 활용한 NOS(Nature of Science) 수업이 예비 생물교사의 과학 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폭력의 문제에 대한 도덕과 교수-학습 및 평가 방안: 소설 『코끼리』 활용을 중심으로
- ‘온돌’의 교과 연계 적용과 그 도덕 교육적 가치에 관한 연구
- 학교현장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들의 역량 향상에 대한 기대와 성취도 분석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백워드 설계 기반의 한국어 쓰기 단원 개발 방안 탐색
- 마이크로전공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교수, 학생 인식조사
- 대학생의 입학전형별 취업률 분석: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수업에서 심층학습을 위한 플립드 러닝 설계원리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