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현장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들의 역량 향상에 대한 기대와 성취도 분석
이용수 30
- 영문명
- Analysis of expectations and achievemen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y before and after school field practice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성원경(Won-Kyung Sung) 박혜경(Hye-Kyung Park)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90집, 167~18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학교현장실습에서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는 역 량과 학교현장실습 후에 성취한 역량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보다 내실화된 학교현 장실습 운영을 위한 지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2020학년도부터 2022학년 도까지 학교현장실습에 참여한 대전광역시 A대학교의 예비유아교사 153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t-test와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현장실 습 전·후로 예비유아교사들이 기대하는 역량과 성취한 역량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아와의 상호작용’, ‘유아발달과 개인차 이해’, ‘유아생활지도 및 안전지도’, ‘집단활동지도’, ‘교육계획안 작성’, ‘매체개발과 제작’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IPA 분석결과를 역량 향상에 대한 기대를 Y축으로, 성취도 인식을 X축으로 하는 사분면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 다. 1사분면(지속 유지)에는 ‘유아와의 상호작용’, ‘놀이지도’, ‘집단활동지도’, ‘유아생 활지도 및 안전지도’, ‘유아발달과 개인차 이해’가 포함되었으며, 2사분면(집중 개선) 에는 ‘환경구성’과 ‘유치원교육과정 실행’이 포함되었다. 3사분면(점진 개선)에는 ‘부 모와의 의사소통’, ‘유치원 행정 및 사무’, ‘행사계획 및 실행’, ‘매체 개발과 제작’이 포함되었으며, 4사분면(과잉노력 지양)에는 ‘교육계획안 작성’이 포함되었다. 이를 토대로 학교현장실습의 내실화를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reinforcing methods for school field practice using IPA by analyz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competencies expected in school field practice and competencies achieved after school field practice. The t-test and IPA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data of 153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A University in Daejeon who participated in school field practice from the 2020 academic year to the 2022 academic yea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mpetencies expected of pre-service teachers before and after school field practice and those achieved. In particula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acting with children’, ‘understanding child development and individual differences’, ‘guidance of children life and safety’, ‘guiding group activities’, ‘writing educational plans’, and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teaching media’. Second, the IPA analysis results can be organized into quadrants with expectations for competency improvement on the Y-axis and recognition of achievement on the X-axis, as follows. Quadrant 1 included ‘interacting with children’, ‘guiding play’, ‘guiding group activities’, ‘guidance of children life and safety’, and ‘understanding child development and individual differences’, while quadrant 2 included ‘organizing the environment’ and ‘implementing the kindergarten curriculum’ was included. The 3rd quadrant included ‘communication with parents’, ‘kindergarten administration and affairs’, ‘event planning and execution’ and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teaching media’, and the 4rd quadrant included ‘writing educational plan’. Based on this,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 field practi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공지능과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윤리문제 탐구를 중심으로 하는 이해와 인식의 인공지능 윤리학
- 교육연구 제90집 목차
- 레젤스키 프락시컬 음악교육을 적용한 앙상블 프로그램 및 지도방안 개발
- 델파이 조사에 따른 수학·과학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 저작도구의 정의와 구성체계 탐색 연구
- 맹자 심신관계론의 윤리학적 의미와 그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 과학사를 활용한 NOS(Nature of Science) 수업이 예비 생물교사의 과학 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폭력의 문제에 대한 도덕과 교수-학습 및 평가 방안: 소설 『코끼리』 활용을 중심으로
- ‘온돌’의 교과 연계 적용과 그 도덕 교육적 가치에 관한 연구
- 학교현장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들의 역량 향상에 대한 기대와 성취도 분석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백워드 설계 기반의 한국어 쓰기 단원 개발 방안 탐색
- 마이크로전공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교수, 학생 인식조사
- 대학생의 입학전형별 취업률 분석: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수업에서 심층학습을 위한 플립드 러닝 설계원리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