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이크로전공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교수, 학생 인식조사
이용수 28
- 영문명
- Professors’ and Students’ Perceptions for Effective Micro-Major Operation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전영미(Young Mee Jeon)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90집, 239~26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학생들에게 학점 이수의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다양한 학습 선택권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마이크로전공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마이크 로전공을 처음 개설하여 운영 중인 수도권 소재 대학의 교수와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교수들은 61.3%가 마이크로전공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으나 학생들은 61%가 들어본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 로전공에의 참여 의사 및 만족도는 교수와 학생 모두 높았다. 교수들은 학생들의 융합 적 사고능력을 키우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았으며, 학생들은 부·복수전공보다 부담이 적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 마이크로전공 유형으로 교수들은 2개 이상의 학과가 개설하고 개설학과 학생들도 이수할 수 있는 유형을, 학생들은 국가 자격증과 연계되는 유형을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전공 활성화를 위해 교수들 은 학교와 학생의 관심이 가장 필요하고, 학생들은 타전공자에 대한 기초학습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미래사회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대학이 보다 적극적으로 마이크로전공의 도입과 운영, 특히 학생들에게 실질적 인 도움이 되는 유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교수와 학생 대상 홍보 강화, 그리고 교수와 학생의 관심이 마이크로전공의 실제 운영으로 이어질 수 있는 학사 제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rofessors who actually launch a micro-major at universities and students who participate directly in classes since the interest in the micro-major has increased recently. According to a survey of professors and students attending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61.3 percent of professors have heard of micro-major, but 61 percent of students have not. The intention and satisfaction of participating in the micro-major were high for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Professors saw that it could help students develop their convergent thinking skills. The biggest reason for students was that it was less of a burden than double majors or minor majors. Professors want a course type that can be opened by two or more departments and can be completed by students in the these departments. Students find micro-major course type that is linked to national certificates is the most desirable. In order to revitalize the micro major, professors recognized that the attention of schools and students was the most needed, and students recognized that basic learning support for other majors was the most needed.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university should more actively consider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the micro-major to cope with changes in the future society, especially the introduction of types that actually help students, strengthen promotion for professors and students, and consider systems such as the major curriculum certification system so that professors and students' interest can lead to actual operation of the micro-major.
목차
Ⅰ. 머리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요약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공지능과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윤리문제 탐구를 중심으로 하는 이해와 인식의 인공지능 윤리학
- 교육연구 제90집 목차
- 레젤스키 프락시컬 음악교육을 적용한 앙상블 프로그램 및 지도방안 개발
- 델파이 조사에 따른 수학·과학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 저작도구의 정의와 구성체계 탐색 연구
- 맹자 심신관계론의 윤리학적 의미와 그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 과학사를 활용한 NOS(Nature of Science) 수업이 예비 생물교사의 과학 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폭력의 문제에 대한 도덕과 교수-학습 및 평가 방안: 소설 『코끼리』 활용을 중심으로
- ‘온돌’의 교과 연계 적용과 그 도덕 교육적 가치에 관한 연구
- 학교현장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들의 역량 향상에 대한 기대와 성취도 분석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백워드 설계 기반의 한국어 쓰기 단원 개발 방안 탐색
- 마이크로전공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교수, 학생 인식조사
- 대학생의 입학전형별 취업률 분석: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수업에서 심층학습을 위한 플립드 러닝 설계원리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