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지능과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윤리문제 탐구를 중심으로 하는 이해와 인식의 인공지능 윤리학
이용수 190
- 영문명
-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2022 Revised Moral Subject Education Curriculum: Ethics of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and moral edu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centered on Exploring Ethical Issues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권수현(Suhyeon Kwon)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90집, 25~4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공지능은 20세기 중반부터 발전을 거듭해 왔다. 때로는 발전의 동력이 멈추기도 했지만, 딥러닝 기반의 비지도 학습과 더불어 현재까지 부활기를 보내고 있다. 언젠가는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적 능력을 뛰어넘는 초지능의 시대가 열릴 것이 고 포스트 휴먼의 출현이 본격화할 것이다. 인공지능이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수행하며, 심지어 자신을 스스로 설계하는 세상이 온다면, 이러한 세상을 우리는 감당 할 수 있을까? 미래 기술은 인류에게 혜택을 줄 뿐 아니라 문제도 동반한다. 특이점을 향해 달려가는 과학기술의 진보가 비가역적인 한, 기술 진보의 문제는 더 나아간 기술 진보로 해결해야 할 것이다. 그러자면 미래 기술을 제대로 받아들일 준비를 해야 하고, 무엇보다 미래 세대의 미래 기술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전제해야 한다.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따른 융합 선택 과목인 윤리문제 탐구 는 인공지능 부분에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지만, 초지능과 포스트휴먼의 출현에 관한 내용을 반영하고 있지 않기에, 반영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영문 초록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en evolving since the mid-20th century, and while its momentum has stalled at times, it is currently undergoing a resurgence with deep learning-based unsupervised learning. One day, AI will surpass human intellectual capabilities, ushering in an era of superintelligence and the emergence of the post-human. In a world where AI sets its own goals, fulfills them, and even designs itself, will we be able to handle it? Future technologies will bring both benefits and problems to humanity, and as long as the progr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toward the singularity is irreversible, the problems of technological progress will have to be solved by further technological progress. To do so, we need to prepare to accept future technologies properly and, most importantly, to understand and recognize future technologies in future generations. The 2022 revised moral studies curriculum, “Exploring Ethical Issues,” a convergence elective course, devotes a large amount of space to artificial intelligence, but it does not reflect the emergence of superintelligence and posthumans, which raises the need for reflec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인공지능의 역사와 기계학습
Ⅲ. 초인공지능
Ⅳ. 교육과정과 『윤리문제탐구』의 인공지능 관련 내용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공지능과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윤리문제 탐구를 중심으로 하는 이해와 인식의 인공지능 윤리학
- 교육연구 제90집 목차
- 레젤스키 프락시컬 음악교육을 적용한 앙상블 프로그램 및 지도방안 개발
- 델파이 조사에 따른 수학·과학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 저작도구의 정의와 구성체계 탐색 연구
- 맹자 심신관계론의 윤리학적 의미와 그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 과학사를 활용한 NOS(Nature of Science) 수업이 예비 생물교사의 과학 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폭력의 문제에 대한 도덕과 교수-학습 및 평가 방안: 소설 『코끼리』 활용을 중심으로
- ‘온돌’의 교과 연계 적용과 그 도덕 교육적 가치에 관한 연구
- 학교현장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들의 역량 향상에 대한 기대와 성취도 분석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백워드 설계 기반의 한국어 쓰기 단원 개발 방안 탐색
- 마이크로전공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교수, 학생 인식조사
- 대학생의 입학전형별 취업률 분석: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수업에서 심층학습을 위한 플립드 러닝 설계원리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