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임상시험에서 시판 중인 의약품으로 인해 대상자에게 발생한 손해보전에 관한 고찰
이용수 34
- 영문명
- Review on compensation for damages of clinical trial subjects due to commercially available drugs in clinical trials
- 발행기관
- 명지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박태신(Tae-Shin Park)
- 간행물 정보
- 『명지법학』제23권 제1호, 301~3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시판 중인 의약품이 이용되는 임상시험은 제4상 임상시험이나 활성대조군(active-controlled)을 이용한 제3상 임상시험, 시판 중인 의약품과 시험약 등의 병용요법(Combination Therapy) 연구,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 등을 들 수 있는데, 위와 같은 임상시험에서 시판 중인 의약품으로 인한 대상자의 피해는 통상 임상시험 참여로 인한 피해이자 시판 중인 의약품의 부작용이라는 이중적인 성격을 가진다. 그리고 그 피해가 임상시험 관련자들의 고의, 과실 등과 관계 없이 발생한 것이라면 보상의 대상이 되고, 시판 중인 의약품으로 인한 피해가 임상시험 관련자들의 고의, 과실 등으로 발생한 것이라면 배상의 대상이 된다. 한편, 약사법령은 임상시험용 의약품으로 인한 피해는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급여의 지급제외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그 임상시험용 의약품이 시판 중인 의약품일 경우에는 피해구제급여제도의 취지 및 본질, 규정 체계, 시판 중인 의약품을 임상시험에서 대조약으로 복용한 경우와 임상시험에 참여하지 않은 환자가 투여한 경우가 본질적인 차이가 없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급여의 대상이 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임상시험에서 건강상 피해를 입은 대상자는 의뢰자나 시험책임자로부터 배상이나 보상을 받을 수 있는데, 특히 보상 대상이 되는 경우에는 위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급여제도와 선택적으로 적용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다만, 관련 법령 해석상의 논란으로 인해 대상자의 보호 미흡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규정을 명확히 정비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Clinical trials in which commercially available drugs are used include phase 4 clinical trials, phase 3 clinical trials using active-controlled groups, combination therapy studies of commercially available drugs and test drugs, bioequivalence tests, etc. Damage to subjects caused by commercially available drugs usually has a dual nature: damage caused by participation in clinical trials and side effects of commercially available drugs. If the damage occurred regardless of the intention or negligence of those involved in the clinical trial, it is subject to compensation, and if the damage caused by a commercially available drug occurred due to the intention or negligence of those involved in the clinical trial, it is subject to indemnification. Meanwhile,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stipulates that damages caused by clinical investigational drugs are excluded from payment of side effect relief benefits. However, if the clinical trial drug is a commercially available drug, considering the purpose and essence of the damage relief benefit system, regulatory system of related laws, and that there is no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taking a current drug as a control drug in a clinical trial and taking it by a patient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clinical trial, it is reasonable to interpret that it is eligible for damage relief benefits for side effects of the drug. In addition, subjects who suffer health damage during clinical trials can receive indemnification or compensation from the sponsor or trial director. In particular, in cases where compensation is eligible, it should be viewed as being applied in an selecting manner with the above drug side effect damage relief benefit system. However, due to controversies in the interpretation of related laws, there is a need to clearly overhaul the regulations to dispel concerns about insufficient protection of subjects.
목차
Ⅰ. 서설
Ⅱ. 선행연구의 내용 및 연구 방향
Ⅲ. 시판 중인 의약품이 이용되는 임상시험 및 그로 인한 손해의 성격
Ⅳ. 현행 법령 상 시판 중인 의약품으로 인한 피해에 대한 구제제도
Ⅴ. 결어 -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명지법학 제23권 제1호 목차
- 법무부장관의 검찰총장에 대한 구체적 수사지휘권
- 독일 영업비밀보호법의 주요 내용과 그 시사점
- 검찰의 피해자 보호·지원제도와 개선방안
- 사이버공간에서의 국제법상 상당한 주의 원칙의 컨센서스를 위한 지역기구의 실행 및 시사점
- 중국 정부조달 중 행정적 독점에 관한 법적 검토
- 스코틀랜드의 혐오범죄 규율을 위한 새로운 법적 근거
- 일본뇌염 진단과 상해사고 인정에 관한 연구 - 금융분쟁조정결정(조정번호: 제2023-2호)을 중심으로
- 적극행정 제도의 실효적 운용을 위한 연구 - 성실 의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가압류와 소멸시효중단 효력의 종료 시기
- 미성년 자녀의 불법행위와 비양육친의 감독의무
- 우리나라 실물 주민등록증 제도의 개선 연구
- 국가사이버안보 강화를 위한 사이버 취약점 규제 개선방안 - 미국의 사이버 취약점 규제를 중심으로
- 기한 이익 상실에 관한 민법 규정의 개정
- 집합건물 관리단의 소송상 지위 - 대법원 2022. 6. 30. 선고 2021다239301 판결의 검토
- 임상시험에서 시판 중인 의약품으로 인해 대상자에게 발생한 손해보전에 관한 고찰
- 국제보건규칙 개정의 내용과 함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디지털게임연구 제1권 제1호 목차
- 비주얼 노벨 게임의 장르적 정체성과 매체 특수성 연구: 미스터리·호러 장르를 중심으로
- 매직서클을 형성할 수 없는 여성 게이머들: 여성 게이머와 규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