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가사이버안보 강화를 위한 사이버 취약점 규제 개선방안 - 미국의 사이버 취약점 규제를 중심으로
이용수 127
- 영문명
- Measures to improve the cyber vulnerability regulation to strengthen national cyber security - Focusing on the US cyber vulnerability regulation
- 발행기관
- 명지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방정미(Jungmi Bang)
- 간행물 정보
- 『명지법학』제23권 제1호, 321~33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공지능, 스파이웨어, 양자암호 등 신기술의 등장과 급변하는 IT 환경으로 인해 국가의 안보 영역이 사이버공간으로 확장되었고, 국제 해킹조직이나 국가가 직·간접적으로 지원하는 단체들의 사이버공격이 국가 안보에 심각한 위협으로 부상하였다. 이에 따라, 국가 사이버안보 관련 법제의 정비를 통해 사이버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규제 체계 정립이 시급하다.
실례로, 개인의 휴대폰에 침투하여 사용자 몰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카메라와 마이크를 작동시킬수도 있는 이스라엘의 NSO 그룹이 개발한 스파이웨이인 ‘페가수스’가 인권 활동가 감시에 악용된 다수의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페가수스도 일종의 사이버 취약점을 이용한 스파이웨어인데, 이를 악용한 사용자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국가의 국가기관들에서도 페가수스를 구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사이버 취약점이 발견되면 이를 악용하는 사례들도 발생하지만 해당 취약점의 패치 개발도 활발히 이루어져 취약점 공격에 방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이버 취약점 자체를 규제의 대상으로 보아서는 안 되며, 이를 악용하는 행위 혹은 행위자 혹은 사이버 취약점을 이용한 스파이웨어를 규제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는 현재 사이버 취약점을 직접적으로 규제하는 법제가 부재할 뿐만 아니라, 용어의 사용에도 사이버 취약점, 제로데이, 익스플로잇, 스파이웨어, 몰웨어, 감시 소프트웨어 등이 명확한 구별 없이 혼용되고 있어 규제적 접근을 어렵게 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관련 용어의 정리를 시작으로 사이버 취약점 거래시장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관련 규제들을 연혁적으로 정리하여 사이버 취약점 규제 체계 개선을 위한 연구의 시작으로 삼고자 한다. 또한, 최근 다양한 규제적 접근 방식을 통해 사이버 취약점 규제를 시행하고 있는 미국의 규제 사례들을 분석하여, 우리 법제 정비의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이를 통해, 사이버 취약점 관련 공격에 대응하는 법제들은 회색지대조치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취약점 자체를 불법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에, 정부의 사이버 취약점 사용을 투명화하고, 기술별 통제보다는 악성 행위자를 대상으로 하는 수출 통제나 행위 규제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스파이웨어와 같은 제로데이 관련 사이버 취약점 기술들을 규제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 방식이 존재하며, 기존의 다자간 기구에 의해 강제해 왔던 규제방식 보다는 자발적인 다자간 연합을 구축하고 이 기구를 강화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는 것도 발견하였다. 결국, 국가 사이버 안보 문제에서 사이버 취약점 관련 규제는 기술을 규제하기보다는 악용 행위 및 행위자를 규제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하며, 정부 기관이 사이버 취약점을 발견·공개할 경우 그 결정의 투명성 문제가 선제적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spyware, and quantum encryption, coupled with the rapidly changing IT environment, has expanded the realm of national security into cyberspace. Cyber attacks by international hacking organizations or state-sponsored groups pose serious threats to national security. Consequently, there is an urgent need to establish a legal framework capable of addressing these threats through the refinement of national cybersecurity legislation. In particular, since vulnerabilities themselves are difficult to classify as illegal—as seen with grey zone measures—there is a need for transparency in the government's use of cyber vulnerabilities and for a regulatory approach that targets malicious actors rather than specific technologies.
The 'Pegasus' spyware developed by Israel's NSO Group can infiltrate personal mobile phones to collect private information and secretly activate cameras and microphones. Although this spyware has been purchased by various government agencies, there have been numerous reports of misuse, such as surveillance of human rights activists. On the other hand, once these cyber vulnerabilities are discovered, patches are actively developed to mitigate the threats. Therefore, while cyber vulnerabilities themselves cannot be the target of regulation, the mixed use of terms such as cyber vulnerabilities, zero-days, exploits, and recently, spyware, complicates regulatory approaches. This paper begins by clarifying these terms and analyzing the cyber vulnerability market, followed by a chronological review of relevant regulations in South Korea, laying the groundwork for improving the cyber vulnerability regulatory framework. Based on this, we analyzed the recent regulatory approaches in the United States, which is actively implementing cyber vulnerability regulations, to derive insights for improving our national cybersecurity regulatory system.
There are various approaches to regulating zero-day related cyber vulnerability technologies, such as spyware. Rather than relying on the traditional method of enforcement by existing multilateral organizations, it may be more effective to establish and strengthen voluntary multilateral coalitions. Additionally, in addressing national cybersecurity issues, regulations related to cyber vulnerabilities should focus on regulating malicious acts and actors rather than the technology itself. Furthermore, when government agencies discover and disclose cyber vulnerabilities, the transparency of such decisions must be determined proactively.
목차
Ⅰ. 서론
Ⅱ. 사이버 취약점 거래시장
Ⅲ. 사이버 취약점 규제의 최근 동향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명지법학 제23권 제1호 목차
- 법무부장관의 검찰총장에 대한 구체적 수사지휘권
- 독일 영업비밀보호법의 주요 내용과 그 시사점
- 검찰의 피해자 보호·지원제도와 개선방안
- 사이버공간에서의 국제법상 상당한 주의 원칙의 컨센서스를 위한 지역기구의 실행 및 시사점
- 중국 정부조달 중 행정적 독점에 관한 법적 검토
- 스코틀랜드의 혐오범죄 규율을 위한 새로운 법적 근거
- 일본뇌염 진단과 상해사고 인정에 관한 연구 - 금융분쟁조정결정(조정번호: 제2023-2호)을 중심으로
- 적극행정 제도의 실효적 운용을 위한 연구 - 성실 의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가압류와 소멸시효중단 효력의 종료 시기
- 미성년 자녀의 불법행위와 비양육친의 감독의무
- 우리나라 실물 주민등록증 제도의 개선 연구
- 국가사이버안보 강화를 위한 사이버 취약점 규제 개선방안 - 미국의 사이버 취약점 규제를 중심으로
- 기한 이익 상실에 관한 민법 규정의 개정
- 집합건물 관리단의 소송상 지위 - 대법원 2022. 6. 30. 선고 2021다239301 판결의 검토
- 임상시험에서 시판 중인 의약품으로 인해 대상자에게 발생한 손해보전에 관한 고찰
- 국제보건규칙 개정의 내용과 함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디지털게임연구 제1권 제1호 목차
- 비주얼 노벨 게임의 장르적 정체성과 매체 특수성 연구: 미스터리·호러 장르를 중심으로
- 매직서클을 형성할 수 없는 여성 게이머들: 여성 게이머와 규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