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코틀랜드의 혐오범죄 규율을 위한 새로운 법적 근거
이용수 42
- 영문명
- A new legal basis for the regulation of hate crimes in Scotland
- 발행기관
- 명지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이정념(Jungnyum Lee)
- 간행물 정보
- 『명지법학』제23권 제1호, 101~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스코틀랜드에서는 2024년 4월 1일부터 혐오범죄의 규율을 위한 새로운 법적 근거가 효력을 발휘하고 있다. 「혐오범죄 및 공공질서법」은 스코틀랜드 전역에서 혐오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보호 조치를 확장하는 법적 근거로, 혐오범죄의 유형을 구체화하면서 혐오범죄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는 대상의 범위를 확대하는 등 혐오범죄의 형사법적 규율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스코틀랜드의 「혐오범죄 및 공공질서법」은 혐오범죄를 ‘편견으로 인한 가중범죄, 인종적으로 가중된 괴롭힘 그리고 혐오를 조장하는 범죄’로 유형화하여 처벌 가능한 혐오범죄의 범위를 명확히 하고 있다는 점, 혐오범죄의 피해자 내지 피해집단이 지니는 보호되어야 하는 특성을 구체적으로 열거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개인이 향유하는 의사표현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근거를 명문화 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본 논문은 스코틀랜드의 「혐오범죄 및 공공질서법」이 혐오범죄의 피해자 내지 피해집단이 지니는 보호되어야 하는 특성을 상당히 방대하면서도 구체적으로 열거하면서 혐오범죄를 유형화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혐오범죄 및 공공질서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혐오범죄의 각 유형별 구성요건과 처벌 범위는 물론 동법 내에 마련된 개인의 의사표현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하여 갖추고 있는 조항들의 법적 타당성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면서, 종국적으로 「혐오범죄 및 공공질서법」의 실효성에 대하여 검토하고 있다.
영문 초록
Since 1. April 2024, a new legal basis for regulating hate crimes has come into effect in Scotland. The contains a legal basis for expanding protective measures to respond to hate crimes across Scotland. It strengthens the criminal discipline system for hate crimes, while specifying the types of hate crimes and expanding the scope of objects that are protected against hate crimes. in Scotland clarifies the scope of punishable hate crimes by categorizing them as ‘aggravation of offence by prejudice, offence of racially aggravated harassment, and offences of stirring up hatred’. It specifically lists the characteristics of victims or victimized groups who will be protected while guaranteeing the freedom of expression enjoyed by individual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types of hate crimes contained in the by listing broadly and specif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victims or victimized groups who will be protected. Accordingly, this article examines elements defining hate crimes and the range of punishment for each type of hate crimes specified in the , as well as the legal validity of the provisions set out in the Act to guarantee individual freedom of expression. Finally, this article reviews the effectiveness of the .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혐오범죄 및 공공질서법」의 제정 취지와 보호 대상
Ⅲ. 「혐오범죄 및 공공질서법」에 따른 혐오범죄의 유형 및 판단기준
Ⅳ. 「혐오범죄 및 공공질서법」에 대한 몇 가지 검토
Ⅴ. 맺음말: 「혐오범죄 및 공공질서법」에 담긴 앞으로의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명지법학 제23권 제1호 목차
- 법무부장관의 검찰총장에 대한 구체적 수사지휘권
- 독일 영업비밀보호법의 주요 내용과 그 시사점
- 검찰의 피해자 보호·지원제도와 개선방안
- 사이버공간에서의 국제법상 상당한 주의 원칙의 컨센서스를 위한 지역기구의 실행 및 시사점
- 중국 정부조달 중 행정적 독점에 관한 법적 검토
- 스코틀랜드의 혐오범죄 규율을 위한 새로운 법적 근거
- 일본뇌염 진단과 상해사고 인정에 관한 연구 - 금융분쟁조정결정(조정번호: 제2023-2호)을 중심으로
- 적극행정 제도의 실효적 운용을 위한 연구 - 성실 의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가압류와 소멸시효중단 효력의 종료 시기
- 미성년 자녀의 불법행위와 비양육친의 감독의무
- 우리나라 실물 주민등록증 제도의 개선 연구
- 국가사이버안보 강화를 위한 사이버 취약점 규제 개선방안 - 미국의 사이버 취약점 규제를 중심으로
- 기한 이익 상실에 관한 민법 규정의 개정
- 집합건물 관리단의 소송상 지위 - 대법원 2022. 6. 30. 선고 2021다239301 판결의 검토
- 임상시험에서 시판 중인 의약품으로 인해 대상자에게 발생한 손해보전에 관한 고찰
- 국제보건규칙 개정의 내용과 함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디지털게임연구 제1권 제1호 목차
- 비주얼 노벨 게임의 장르적 정체성과 매체 특수성 연구: 미스터리·호러 장르를 중심으로
- 매직서클을 형성할 수 없는 여성 게이머들: 여성 게이머와 규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