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집합건물 관리단의 소송상 지위 - 대법원 2022. 6. 30. 선고 2021다239301 판결의 검토

이용수  12

영문명
The legal status of a managing body of a condominium building in a lawsuit - A Review of Supreme Court Ruling 2021da239301 Issued on June 30, 2022
발행기관
명지대학교 법학연구소
저자명
이세은(Se Eun Lee)
간행물 정보
『명지법학』제23권 제1호, 283~30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7.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재 우리의 일상 생활의 많은 부분이 집합건물에서 이루어지면서 집합건물과 관련된 분쟁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집합건물에 관한 분쟁에서 집합건물의 유지·관리의 주체 및 소송 당사자, 소송상 관계 등에 관한 문제가 자주 등장하고 있어 이에 관한 우리 판례의 정립이 절실해지고 있다. 대상 판결은 공용부분의 무단점유자에 대한 부당이득반환청구소송에서 집합건물 관리단의 법적 지위를 제3자 소송담당이라는 전제에서 기판력과 재소금지원칙 적용 여부를 판단하였다. 이미 구분소유자 중 일부가 소를 제기하였다면 그 판결의 기판력이 관리단에 미치지만, 소 취하에 의한 재소금지의 적용에 있어서는 구분소유자 공동이익을 위한 목적으로 소송을 수행한다는 이유로 관리단에게 새로운 권리보호이익이 인정되므로 재소금지원칙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고 보았다. 또한 관리단이 공용부분 무단점유자를 상대로 부당이득반환청구 소송을 하려면 관리단집회의 결의나 규약에 근거가 있어야 함을 명시적으로 판단하였다는 점에서 대상 판결은 그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Currently, as much of our daily life takes place in condominium buildings, in disputes regarding condominium buildings, issues related to the subject in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m, the parties to a lawsuit and litigation relationships, etc. frequently arise. This highlights the urgent need for establishing Korean legal precedents in this area. The judgment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the res judicata and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re-litigation, assuming that the legal status of the managing body of a condominium building in a lawsuit for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against unauthorized occupants of the section for common use was that of a third party standing in a lawsuit. If some of the sectional owners have already filed a lawsuit, the res judicata of the judgment extends to the managing body, however,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the prohibition of re-litigation due to the withdrawal of the litigation, it was determined that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re-litigation did not apply. This is because new rights protection interests were recognized, as the managing body was pursuing the lawsuit for the common benefit of the sectional owners. Additionally, the judgment is significant because it explicitly determined that for the managing body to file a lawsuit for the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against unauthorized occupants of the section for common use, there must be a basis in the resolutions or regulations of the managing body’s meetings.

목차

Ⅰ. 서론
Ⅱ. 사건의 개요
Ⅲ. 대상판결에 대한 연구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세은(Se Eun Lee). (2024).집합건물 관리단의 소송상 지위 - 대법원 2022. 6. 30. 선고 2021다239301 판결의 검토. 명지법학, 23 (1), 283-300

MLA

이세은(Se Eun Lee). "집합건물 관리단의 소송상 지위 - 대법원 2022. 6. 30. 선고 2021다239301 판결의 검토." 명지법학, 23.1(2024): 283-3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