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문화 정체감과 사회적 관계에 관한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A Study on the Cultural Identity and Social relationships of Children in a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이소희(So Hee Lee) 최운선(Woon Sun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3 No.3, 163~18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적 배경을 갖고 살아가는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문화 정체감과 사회적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만 3세~15세 사이의 국제결혼 가정 자녀 16명과 그 부모 9명, 담임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과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사례연구 접근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국제결혼가정 자녀들의 문화 정체감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아이들이 한국이름과 한국어를 구사하고 한국문화를 선택하며 자신을 한국사람으로 정체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일부 아동들은 한국과 외국이름 두 개를 갖고 있었고, 가정에서 분리 혹은 혼합하는 방식으로 한국어와 어머니의 모국어를 사용하며, 부모의 문화적 유산을 실용적이고 혼성적으로 선택하는 성향, 그리고 상황과 맥락에 따라 자신을 다르게 정체화 하는 이중 정체성을 갖고 있었다. 다음,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사회적 관계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자녀들이 외국출신 부모와 긍정적인 관계를 갖고 또래들과 잘 어울리며 교사의 적극적인 지지와 배려를 받으면서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일부 자녀들은 외국출신 모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다문화적 특성으로 인해 친구들로부터 놀림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으며, 교사들의 경험부족과 부정적 태도는 이들의 학교생활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또한 이국적인 외모를 가진 아동들은 자신이 외국인으로 오해받는 것을 꺼려했으며, 공적인 장소에서 자신의 또 다른 문화적 특성을 노출하는 것을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ultural identity and social relationships of children i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To achieve this purpose, researchers contacted 16 children i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between the ages of three and fifteen, and their parents and teachers.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was analysed using the case study approach.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ost children had only a Korean name and used the Korean language, conformed to Korean culture and were self-identified as Korean. In contrast, some of the children had two names and used two languages in separated or mixed patterns. They had a bicultural identity which was chang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context, they had also made a pragmatic and hybridized choice to their parental cultural heritages. Second, most of the children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foreigner parent, and peers, also their teachers gave support and careful concern to them. But in some cases, the children had negative attitudes to their mothers, and were exposed to the ridicule of their peers because of their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Some teachers had few multicultural experiences and showed negative attitudes to the children, which made the children's school life more difficult. In addition, some children who looked different disliked being misunderstood to be foreigners and avoided showing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ir culture in public plac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촌 조손가족 손자녀의 일탈행동에 관한 연구
- 자폐아동 가족의 스트레스와 가족적응이 자폐아동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경로분석
-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문화 정체감과 사회적 관계에 관한 연구
- 아동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와의 의사소통 및 아동의 심리적변인
- 농어촌 여성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입양을 결정한 10대 미혼모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배우자폭력 여성 피해자의 긍정성과 역기능성에 대한 해결중심 개별상담의 효과 연구
- 부모와 또래에 대한 애착이 교정시설 보호청소년의 위험행위와 비행에 미치는 영향
- 현실치료-인지행동 집단프로그램이 가정폭력 행위자와 피해자의 의사소통양식, 갈등해결능력,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 The Causes of Adoption Dissolution by Precedent Analysis
- 조손가족의 가족기능강화를 위한 사례관리 시범사업평가 및 정책방향
- 연변조선족의 가족주의와 복지의식에 대한 연구
- 가족리더십 코칭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사회복지상담과 불교철학의 융합 가능성 :이론·실천의 통합을 위한 개입 모형 제안
- 사회복지사의 소명의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접근의 개념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