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와의 의사소통 및 아동의 심리적변인
이용수 7
- 영문명
-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Internet Addiction and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Psychological Variance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강란혜(Ran Hye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3 No.3, 129~14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인터넷 사용인구가 급속도로 증가되면서 인터넷 사용에 따른 부작용도 늘어나고 있어 그에 따른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인터넷 사용자의 연령층이 낮아지면서 인터넷 중독에 대한 우려는 초등학생에게까지 미치게 되었다. 그러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 중독 관련 연구는 아직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동기 아동의 인터넷 중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아동의 심리적 변인(자기통제, 자아존중감, 충동성)과 부모-자녀의사소통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시 소재 초등학생 5, 6학년 2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t-test,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인터넷 중독 판별결과, 아동들 중 절반 이상이 인터넷 ‘중독’(12.2%) 또는 ‘중독 성향’ (62.4%)집단으로 나타났다. 배경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중독의 분포도는 성별과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관련변인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자기통제력이 인터넷 중독을 설명하는 가장 설득력 있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부정적 자아존중감, 충동성, 모의사소통, 긍정적 자아존중감 순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effects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n the internet addi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bjects were 255 5th, 6th grade students in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by SAS program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s,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test, t-test, one 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ir scores of Internet Addiction Scale, they were classified in three groups; addicted groups, addiction tendency group and not addicted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Elementary students' psychological variances were median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were slightly lower than median. Internet addiction was influenced by self-esteem, Internet addic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2) Internet addiction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mmunication with mothers, self-control, and positive self-esteem. Also, it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mpulsivity, and negative self-esteem. (3) Internet addiction tendency was influenced by self-control, communication with mothers, self-esteem, impulsivity. Therefor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this situ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촌 조손가족 손자녀의 일탈행동에 관한 연구
- 자폐아동 가족의 스트레스와 가족적응이 자폐아동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경로분석
-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문화 정체감과 사회적 관계에 관한 연구
- 아동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와의 의사소통 및 아동의 심리적변인
- 농어촌 여성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입양을 결정한 10대 미혼모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배우자폭력 여성 피해자의 긍정성과 역기능성에 대한 해결중심 개별상담의 효과 연구
- 부모와 또래에 대한 애착이 교정시설 보호청소년의 위험행위와 비행에 미치는 영향
- 현실치료-인지행동 집단프로그램이 가정폭력 행위자와 피해자의 의사소통양식, 갈등해결능력,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 The Causes of Adoption Dissolution by Precedent Analysis
- 조손가족의 가족기능강화를 위한 사례관리 시범사업평가 및 정책방향
- 연변조선족의 가족주의와 복지의식에 대한 연구
- 가족리더십 코칭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사회복지상담과 불교철학의 융합 가능성 :이론·실천의 통합을 위한 개입 모형 제안
- 사회복지사의 소명의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접근의 개념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