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족리더십 코칭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family leadership coaching program on teaching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and job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김순천(Soon Chen Kim) 도미향(Mi Hyang Do)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3 No.3, 207~22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아동과 부모, 또 보육종사자 간에 리더십을 발휘할 때 보육교사의 교사로서의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그 상호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리더십코칭프로그램으로 효율적인 코칭대화를 통해 보육교사로서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하는데 도움이 되는지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대상은 보육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보육교사 총 26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연구를 위해 해피온가족코칭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교수 효능감과 직무만족도로 분석하였으며, t 검증과 상관관계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십코칭프로그램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다. 둘째, 리더십코칭프로그램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다. 직무만족은 프로그램 처치 전보다 프로그램 처치 후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향상되었으며 이러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 유의하였다. 셋째, 리더십코칭프로그램에 따른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effectiveness as a teacher and job satisfaction when a nurturing teacher display the leadership for children, parents and other employees involving in the child-care field. Additionally, we investigated whether leadership coaching program is useful for a nurturing teacher to activate the potential through effective coaching communication. For this research, 26nurturing teachers who are working in child-care institutions are selected for parameter and we operated the Happy-on family coaching program. To analyze the effect of such program, we use job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leadership coaching program’s effectiveness as a teacher was meaningful. Second, the leadership coaching program’s effect on job satisfaction was meaningful. Job satisfaction has been advanced over time after inception of leadership coaching program. This has beenverified by comparing job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Third, there is acorrelation between effectiveness and job satisfaction for the leadership coaching progra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촌 조손가족 손자녀의 일탈행동에 관한 연구
- 자폐아동 가족의 스트레스와 가족적응이 자폐아동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경로분석
-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문화 정체감과 사회적 관계에 관한 연구
- 아동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와의 의사소통 및 아동의 심리적변인
- 농어촌 여성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입양을 결정한 10대 미혼모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배우자폭력 여성 피해자의 긍정성과 역기능성에 대한 해결중심 개별상담의 효과 연구
- 부모와 또래에 대한 애착이 교정시설 보호청소년의 위험행위와 비행에 미치는 영향
- 현실치료-인지행동 집단프로그램이 가정폭력 행위자와 피해자의 의사소통양식, 갈등해결능력,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 The Causes of Adoption Dissolution by Precedent Analysis
- 조손가족의 가족기능강화를 위한 사례관리 시범사업평가 및 정책방향
- 연변조선족의 가족주의와 복지의식에 대한 연구
- 가족리더십 코칭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기수용 척도 개발을 위한 이론적 개념 형성과 확장 : 칼 로저스의 인본주의 성격 이론에 기초한 접근
- 사회복지상담과 불교철학의 융합 가능성 :이론·실천의 통합을 위한 개입 모형 제안
-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접근의 개념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