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폐아동 가족의 스트레스와 가족적응이 자폐아동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경로분석
이용수 21
- 영문명
- An Analysis of Pathways from Family Stress and Family Adaptation to the Social Adaptation of Autistic Children - Verific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정현주(Hyun Ju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3 No.3, 89~11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관련 변수와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응이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55명의 자폐성 장애아동의 가족 구성원을 대상으로 가족스트레스, 가족적응, 아동의 사회적응 및 가족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하기 위하여 Amos 7.0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가족스트레스와 가족적응이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응에 이르는 경로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한 가족스트레스가 가족적응에 이르는 경로계수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그리고 가족스트레스와 가족적응간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이 미치는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가족탄력성의 하위차원 중 의사소통만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가족스트레스와 아동의 사회적응간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이 미치는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가족탄력성의 4개의 모든 하위차원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factors and the social adaptation of autistic children. To achieve the mentioned purpose of research,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scales of the family stress, family adaptation, social adaption of autistic children and family resilience for 255 family members of autistic childre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AMOS 7.0 for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family stress and family adaptation has meaningful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ocial adaptation of autistic children. Also, family stress has meaningful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degree of family adaptation. And after analyzing moder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in the result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amily stress on family adaptation, only family communication in subordinate dimension of family resilience provide moderation effect.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all subordinate dimension of family resilience between family stress and the social adaption of autistic children has been analyzed, too.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ts limitation and further research was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촌 조손가족 손자녀의 일탈행동에 관한 연구
- 자폐아동 가족의 스트레스와 가족적응이 자폐아동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경로분석
-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문화 정체감과 사회적 관계에 관한 연구
- 아동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와의 의사소통 및 아동의 심리적변인
- 농어촌 여성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입양을 결정한 10대 미혼모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배우자폭력 여성 피해자의 긍정성과 역기능성에 대한 해결중심 개별상담의 효과 연구
- 부모와 또래에 대한 애착이 교정시설 보호청소년의 위험행위와 비행에 미치는 영향
- 현실치료-인지행동 집단프로그램이 가정폭력 행위자와 피해자의 의사소통양식, 갈등해결능력,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 The Causes of Adoption Dissolution by Precedent Analysis
- 조손가족의 가족기능강화를 위한 사례관리 시범사업평가 및 정책방향
- 연변조선족의 가족주의와 복지의식에 대한 연구
- 가족리더십 코칭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기수용 척도 개발을 위한 이론적 개념 형성과 확장 : 칼 로저스의 인본주의 성격 이론에 기초한 접근
- 사회복지상담과 불교철학의 융합 가능성 :이론·실천의 통합을 위한 개입 모형 제안
-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접근의 개념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