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唐 靈州 賀蘭山의 불교와 無漏
이용수 14
- 영문명
- Buddhism of Lingzhou Ho-lan Mountains in the Tang Dynasty and Muru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여성구(Sung Goo Yeo)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29집, 119~154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신라 중대 입당구법승인 무루가 중국 사회에 미친 영향을 살피기에 앞서, 그의 교화지역인 靈州의 사회적·사상적 배경을 살피고, 그의 보승불신앙이 이 지역에서 갖는 의미를 추적한 글이다.
무루의 교화지역은 영주의 하란산 일대가 중심이 되었으나, 큰 틀에서 삭방절도사의 관할 지역으로 확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 다양한 민족들이 섞여 살았으며, 유목문화와 농경문화가 혼재했던 지역적 특징을 보인다.
하란산 지역의 불교문화의 특징으로 천수천안관음보살신앙이 유행했으며, 刺血佛事의 모습도 보인다. 이러한 사실은 이 지역에 밀교적 교풍이 확산되고 있음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무루의 영향을 받았을 것 같은 승려로는 증인을 들 수 있으며, 증인의 영향을 받은 제자로는 도주가 있다. 增忍과 道舟는 백초곡에서 수행한 바 있고, 관음신앙자였으며, 爲法忘軀의 간고한 수행은 血經, 血畵를 남겼다.
보승불은 축생(水生)에 대한 布施, 放生 등의 자비를 강조하는 여래로 등장한다. 한편 『염구아귀경』, 『구아난경』 등에서는 보승불이 아귀의 救拔과 관련한 내용을 전하고 있다. 이들 사례만을 보면, 보승불은 축생, 아귀 등 삼악도의 중생을 제도하는데 깊이 연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보승불신앙은 하란산 일대의 북방 유목민족들을 교화하는데 유효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explores the impact of Muru's influence on Chinese society. He was a Buddhist monk who entered the Tang Dynasty to learn Buddhism. First of all, I looked at the region where Muru was educated and the social and ideological backgrounds of the region. Next, I traced his edification.
The edification area of Mulu was centered on the Haran Mountain of Yeongju. However, I thought it would be possible to expand into the jurisdiction of ShuòfāngJeoldosa(朔方節度使). Various ethnic groups live together in shuòfāng areas, show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mixed cultures of nomadic cultures and agricultural cultures. In particular, Goguryeo displaced people lived there. As a result, Muru seems to have interlinked with displaced people.
In this area, the Cheonsu cheonan Avalokiteśvara faith was popular. Monks also painted Buddhist statues or copied Buddhist scriptures with their own blood. This fact reflects the widespread spread of Esoteric Buddhism in the area. A monk Jeungin(增忍) and Doju(道舟) are believ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Mulu.
목차
Ⅰ. 머리말
Ⅱ. 무루와 하란산
Ⅲ. 하란산 백초곡의 불교문화
Ⅳ. 무루의 보승불신앙과 영주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高句麗 慕本王代 4郡 공격 배경과 영향
- 해방 직후 한국사 교과서 발행과 삼국 통일에 관한 서술 검토
-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의 특징과 건립시기
- 『화랑세기』에 나오는 系譜(genealogical charter)가 갖는 중요성과 그 의미
- 唐의 고구려 지배정책과 安勝의 行步
- 6세기 百濟와 山東의 佛敎文化 交流에 대한 再考
- 唐 靈州 賀蘭山의 불교와 無漏
- 新羅의 磐井亂 개입과 金官加耶 倂合
- 단양 온달산성의 축조시기와 운영주체에 대한 재고찰
- 경주 南山 七佛庵 불교조각과 石經片으로 본 통일신라의 불교신앙과 의례
-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에 대한 고찰
- 삼척 흥전리사지 삼층석탑의 미술사적 의미
- 북한 고구려 고분벽화 模寫圖의 가치와 활용에 대하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