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高句麗 慕本王代 4郡 공격 배경과 영향
이용수 36
- 영문명
- The Background and Influence of Goguryeo King Mobon period to Attack 4 Counties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김효진(Hyo Ji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29집, 9~42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49년에 실행되었던 高句麗의 後漢 4군(우북평, 상곡, 어양, 태원: 이하 4군) 공격에 대한 배경과 전개 그 결말을 살펴본 연구이다. 본격적으로 사건을 살피기에 앞서 관련된 해당 자료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고구려와 4군 지역은 거리상 멀기 때문에 사실을 부정하는 견해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三國史記』 高句麗本紀와 『後漢書』를 분석한 결과, 『三國史記』 속에서 기존에는 언급되지 않는 단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遣將’이라는 표현이 그것이다. 이것은 중국 자료들과는 별개로 『三國史記』가 독자적으로 보유한 原典이 있었음을 시사해주는 대목이다. 결국 고구려 고유 전승에서도 慕本王代 4군 공격은 기록되어 있었다고 추측되는 것이다. 이처럼 양측 모두에 사실을 전하고 있는 만큼 무조건 부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高句麗와 (後)漢은 일찍부터 대립관계를 지속하여 왔다. 그러던 중 41년 遼東太守로 祭肜이라는 인물이 부임하게 된다. 그는 異民族에 대한 적극적 정책을 시행하였으며, 그의 개인적 성품 또한 제법 직선적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볼 때 고구려에게 일정한 위기감이 작용되었을 수도 있다. 당시 4군 지역은 끊임없는 외부의 침공으로 피폐해져 있었다. 이는 채융이 주둔한 遼東郡과는 매우 다른 형국이었다. 또 匈奴가 북쪽으로 후퇴하면서 생긴 ‘막남지공’의 상황은 고구려가 요동군을 우회하여 4군을 공격할 수 있는 루트로 작용되었다. 결국 慕本王代 4군 공격은 요동태수 채융의 정책에 대한 대응 차원으로, 이들 지역에 대한 파괴와 약탈행위가 수반되었을 것이다.
이후 兩國은 『後漢書』 祭肜列傳을 보면 화친 관계로 접어들었다. 後漢의 적극적인 유화책의 결과로 보이고 고구려는 이에 호응하였다. 이러한 관계는 105년까지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a study that examines the background and the conclusion of the attack on the Hou-Han(後漢) 4 Counties(Youbeiping, Shanggu, Yuyang, Taiyuan: below 4 Counties) that was conducted in 49. Before we could examine the case in earnest, we attempted to analyze the data provided by this incident. This is because there are opinions that deny the fact that Goguryeo and 4 Counties are far from each other.
The analysis of the Samgugsagi(『三國史記』) and Hou-Hanshu(『後漢書』), In the Samgugsagi, we could find words that were not mentioned before. It is the expression 'send general(遣將)'. This suggests that there was an original originally possessed by the Samgugsagi separately from the Chinese materials. In the end, it is presumed that the 4 Counties attack of King Mobon period was recorded in the Goguryeo inheritance. As I tell the truth to both sides like this, I do not think it is right to unconditionally deny it.
Goguryeo and Hou-Han have been in opposition since early. Then, in 41, a figure named Liaodong viceroy(遼東太守) Zhai-rong(祭肜) is appointed. He enacted an active policy toward ethnic groups, His personal character was also presumed to have been straightforward. Goguryeo may have been affected by a certain sense of crisis. At that time, 4 Counties area was devastated by constant external invasion. This was very different from Liaodong County(遼東郡), where Zhai-rong was stationed. In addition, the situation of the 'The bottom of the desert was empty(漠南之空)' that occurred when the Xiongnu(匈奴) was retreated to the north served as a route for the Goguryeo to bypass the Liaodong County and attack the 4 Counties. In the end, the attack on the 4 Counties of the King Mobon period was a rebellion against the policy of the Liaodong viceroy Zhai-rong, which would have been accompanied by destruction and plunder.
Since then, the two countries have entered into a harmonious relationship. It seems to be the result of active emancipation of the Hou-Han, and Goguryeo responded to it. This relationship seems to have lasted up to 105 years.
목차
Ⅰ. 머리말
Ⅱ. 『三國史記』 慕本王 年 자료 검토
Ⅲ. 고구려의 군 공격 배경과 전개
Ⅳ. 고구려 - 후한의 화친과 그 결과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高句麗 慕本王代 4郡 공격 배경과 영향
- 해방 직후 한국사 교과서 발행과 삼국 통일에 관한 서술 검토
-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의 특징과 건립시기
- 『화랑세기』에 나오는 系譜(genealogical charter)가 갖는 중요성과 그 의미
- 唐의 고구려 지배정책과 安勝의 行步
- 6세기 百濟와 山東의 佛敎文化 交流에 대한 再考
- 唐 靈州 賀蘭山의 불교와 無漏
- 新羅의 磐井亂 개입과 金官加耶 倂合
- 단양 온달산성의 축조시기와 운영주체에 대한 재고찰
- 경주 南山 七佛庵 불교조각과 石經片으로 본 통일신라의 불교신앙과 의례
-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에 대한 고찰
- 삼척 흥전리사지 삼층석탑의 미술사적 의미
- 북한 고구려 고분벽화 模寫圖의 가치와 활용에 대하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