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의 특징과 건립시기
이용수 43
- 영문명
- A Study on the Style Characteristics and Construction Period of Five-Story Stone Pagoda of Tapri-ri, Uiseong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이서현(Seo Hyu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29집, 433~468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은 분황사 석탑과 함께 시원기 석탑으로 잘 알려져 있다. 동시에 모전석탑의 한 계열로 신라석탑의 양식발달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계단형의 옥개석을 제외하면 모전석탑으로 분류되는 특징보다는 이후 발생하는 전형기 석탑의 선행적 요소를 보다 많이 보이고 있어 양식적 특징과 이를 바탕으로 건립시기에 대해 검토하였다. 먼저 기단부는 신라 최초의 석조 가구식기단으로 사천왕사 금당보다 선행하는 것으로 파악하였으며 이후 전형기 석탑인 감은사지 석탑의 가구식기단으로 발전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아울러 탑신부에 반영된 목조건축적 요소들도 목탑을 충실히 번안한 전탑의 영향보다는 목탑을 충실히 번안한 미륵사지 석탑의 구조적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변화와 새로운 시도를 적용한 결과로 파악하였다. 또한 고대 의성의 지역적 특성과 경주의 불탑 문화가 목탑이 주류였던 당시 건탑 문화가 복합적인 배경으로 작용하여 백제석탑 장인의 직·간접적 기술 영향 아래 신라 최초의 가구식기단 석탑 건립이 가능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탑리리 오층석탑과 백제의 마지막 석탑으로 알려진 정림사지 오층석탑과의 양식비교를 통해 건립시기를 추정해 보았다. 그 결과 탑리리 오층석탑이 정림사지 오층석탑보다 과도기적인 특징을 보이며 미륵사지 석탑의 목조건축 의장과 보다 가까운 것으로 파악하였다. 따라서 두 석탑 모두 미륵사지 석탑 이후에 건립되었지만, 탑리리 오층석탑이 먼저 건립되었고, 정림사지 오층석탑이 이보다 늦은 것으로 추론하였다.
영문 초록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Tapri-ri, Uiseong is known as the Origin of Silla stone pagodas from along with the Stone Pagoda of Bunhwang Buddhist Temple. It is also in the family of stone brick pagodas and holds a very important place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Silla stone pagoda styles. Except for its step-like roof stone, however, it shows more antecedent elements of stone pagodas in the following turning point era than features of stone brick pagodas. This study thus set out to examine its style characteristics and review its construction period. Its stylobate is the first stone stylobate in post-lintel construction in Silla. It came before the Geumdang of Sacheonwang Buddhist Temple and developed into that of the stone pagoda at the site of Gameun Buddhist Temple during the turning point era. Its body contains elements of wooden architecture, which are the results of changes and new attempts to solve the weakness of the stone pagoda at the site of Mireuk Buddhist Temple that was fully adapted from wooden pagodas rather than the influence of brick pagodas that were fully adapted from wooden pagodas. In the complex backgrounds of ancient Uiseong's local features, Gyeongju's Buddhist pagoda culture, and the culture of pagoda construction in which wooden pagodas were the mainstream, they must have built Silla's first stone pagoda with the stylobate in post-lintel construction under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f Baekje's master artisans of stone pagodas. Finally, the study estimated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Tapri-ri by comparing its style with that of the Five-Story Stone Pagoda at the site of Jeongrim Buddhist Temple known as the last stone pagoda of Baekje. As a result, the former showed more transitional features than the latter and was closer to the wooden construction design of the stone pagoda at the site of Mireuk Buddhist Temple. Both the stone pagodas were built after the stone pagoda at the site of Mireuk Buddhist Temple, but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Tapri-ri was constructed earlier than the Five-Story Stone Pagoda at the site of Jeongrim Buddhist Temple.
목차
Ⅰ. 머리말
Ⅱ. 탑리리 오층석탑의 양식 특징
Ⅲ. 건립시기에 대한 검토
Ⅳ. 맺음말
키워드
신라석탑
시원기
모전석탑
목탑
백제석탑
미륵사지 석탑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정림사지 오층석탑
Silla stone pagoda
the Origin of Silla stone pagodas
stone brick pagodas
Wooden pagodas
Baekje stone pagoda
Stone pagoda of Mireuk Buddhist Temple site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Tapri-ri Uiseong
The Five-Story Stone Pagoda Jeongrim Buddhist Temple sit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高句麗 慕本王代 4郡 공격 배경과 영향
- 해방 직후 한국사 교과서 발행과 삼국 통일에 관한 서술 검토
-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의 특징과 건립시기
- 『화랑세기』에 나오는 系譜(genealogical charter)가 갖는 중요성과 그 의미
- 唐의 고구려 지배정책과 安勝의 行步
- 6세기 百濟와 山東의 佛敎文化 交流에 대한 再考
- 唐 靈州 賀蘭山의 불교와 無漏
- 新羅의 磐井亂 개입과 金官加耶 倂合
- 단양 온달산성의 축조시기와 운영주체에 대한 재고찰
- 경주 南山 七佛庵 불교조각과 石經片으로 본 통일신라의 불교신앙과 의례
-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에 대한 고찰
- 삼척 흥전리사지 삼층석탑의 미술사적 의미
- 북한 고구려 고분벽화 模寫圖의 가치와 활용에 대하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