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단양 온달산성의 축조시기와 운영주체에 대한 재고찰

이용수  76

영문명
The Reconsideration o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Agent of Danyang Ondal Fortress
발행기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저자명
양병모(Byeong-mo Yang)
간행물 정보
『한국고대사탐구』제29집, 221~260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온달산성은 1989년 지표조사를 계기로 산성의 현황과 온달축성 설화 등이 알려지면서, 온달이 축성했을 가능성과 함께 고구려의 경영문제가 대두되었다. 그로 인해 학계에서는 아단성의 위치비정에 있어서 온달산성에 대한 조선시대 후기에 창작된 축성설화와 주변 지역의 온달전승으로 인해 많은 오해를 불러일으켰다. 본고는 온달산성이 온달과 유관한 것인지 무관한 것인지에 대해서 최근의 고고학적 발굴조사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남한강 상류지역의 6세기경에 축조된 성곽의 축조방식과 주변 고분군 출토 유물 등을 함께 비교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온달산성이 고구려 온달에 의해서 축성되었는지 여부와 온달이 전사한 곳일 가능성에 대해서 그간 고고학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축조시기 및 운영주체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온달산성은 온달설화 즉, 고구려 온달이 축성했을 가능성과 온달이 전사했던 아단성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매우 적다. 온달산성이 위치한 남한강 상류지역은 신라가 5세기 후반경에 죽령로와 동해안로를 통해 진출한 사실이 확인된다. 온달산성은 6세기 중반에 신라에 의해서 축조되었고, 삼국시대 이후 통일신라~나말여초에 이르는 3단계에 걸쳐 산성을 운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situation and tale of construction of Ondal Fortress(溫達山城) became well known due to earth surface investigations conducted in 1989. This brought about the new possibility that Ondal from Goguryeo constructed the fortress and that Goguryeo ran it. The story, writt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and transmitted to the surrounding areas, created numerous misunderstandings in the academic world in terms of locating Adan-Seong(阿旦城). Based on the recent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data, this paper examined whether the fortress is relevant to Ondal. In addition to this, it explored the building style of castles built in the upper region of the Namhan River in the 6th century, and the artifacts discovered in the surrounding tombs. Considering them, I studied to ascertain whether the fortress was built by Ondal. I also analyzed its construction time and operation agen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if this is the very place of Ondal's death. In conclusion, there is only a small chance that Goguryeo or Ondal constructed this castle and that this was the very Adan-seong(阿旦城) where Ondal died as explained in the tale. It is judged that Silla made the Ondal Fortress after the mid 6th century subsequent to entering into the upper region of the Namhang River through the Jungnyeong route(竹嶺路) and the east coastal route(東海岸路) in the late 5th century. It proceeded to run it since then. The fortress appears to have undergone three stages of operation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Unified Silla and the late Silla and early Goryeo Periods by and large.

목차

Ⅰ. 머리말
Ⅱ. 온달산성의 축조방식과 편년
Ⅲ. 온달산성의 축조배경과 운영주체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병모(Byeong-mo Yang). (2018).단양 온달산성의 축조시기와 운영주체에 대한 재고찰. 한국고대사탐구, (), 221-260

MLA

양병모(Byeong-mo Yang). "단양 온달산성의 축조시기와 운영주체에 대한 재고찰." 한국고대사탐구, (2018): 221-2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