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화랑세기』에 나오는 系譜(genealogical charter)가 갖는 중요성과 그 의미
이용수 36
- 영문명
- The Importance and Meaning of Genealogical Charter in Hwarangsegi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이종욱(Jong-Wook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29집, 511~54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화랑세기』는 신라인이 아니면 쓸 수 없는 책이고, 신라인이 아니라면 필요하지도 않았던 책이다. 본고에서는 『화랑세기』를 통하여 그 동안 알 수 없었던 신라의 역사를 밝힘으로써 위작설에 반박하려 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해 『화랑세기』에 나오는 계보에 대해 살펴보았다.
신라인들은 단순한 족보가 아니라 계보를 통해 세보·파맥·세계를 구분하여 파악하고 있었다. 골품제 사회를 살아간 신라인들에게 계보는 고려나 조선 그리고 현재 한국과는 비교할 수 없는 소중한 장치(제도)였다. 골품신분을 사회구성의 중심체제로 유지하던 신라인들에게 계보는 골품신분을 상속하거나 골품신분을 떨어뜨리는 族降의 기준이 되었다. 신라인들의 계보는 신분집단을 유지하는 장치도 되었다. 그러한 系譜는 신라인들에게는 골품신분체제를 유지하는 필수적인 장치였고 나아가 신라인의 모든 면을 규제하는 기본이 되는 장치였다고 하겠다.
그런데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보면 신라버전의 『화랑세기』가 담고 있는 계보를 거의 은폐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삼국사기』나 『삼국유사』는 삼국의 역사를 옳게 다루기 위한 자료로는 많은 부분이 부족한 사료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 은폐·축소된 신라인의 계보가 『화랑세기』에는 신라인의 필요에서 그대로 기록된 것이라 하겠다.
결국 『화랑세기』에 나오는 계보는 『화랑세기』가 위서(위작)일 수 없다는 강력한 증거가 아닐 수 없다. 『화랑세기』가 전하는 신라버전의 이야기를 이해하기 위하여, 『화랑세기』에 대한 견강부회의 위작설을 버리고 신라인의 신라 이야기를 찾는 역사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Hwarangsegi(『花郎世紀』) is the book which could not be written by Silla people, and had no need to non-Silla people to describe. In this paper, I tried to reveal the history of Silla which had been uncovered before the appearance of Hwarangsegi. For this purpose, I studied on the genealogical charter which appears in Hwarangsegi.
Silla people separated and understood sociocultural charter(世譜)·lineage group(派脈)·ancestry link(世系) by genealogical charter(系譜). Silla people lived in a society based on Bone rank system(骨品制), so that genealogical charter was a very important mechanism(system), uncomparable to Goryeo, Joseon, and Korea nowadays. The genealogical charter became a standard for succeeding social status, or dropping down social status(族降), to Silla people whose social status were based on Bonk rank system. It was also a mechanism to maintain a status group to Silla people. The genealogical charter was essential to keep the Bonk rank status system, and it was a mechanism to regulate every aspect of Silla people.
In Samguksagi(『三國史記』) and Samgukyusa(『三國遺事』), however, most of the Silla-version genealogical charter in Hwarangsegi was concealed. Therefore, we can find that Samguksagi and Samgukyusa are highly insufficient materials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Three Kingdoms right. Especially, the genealogical charter of Silla people which was concealed and cut was recorded intact because of the need of Silla people themselves.
As a result, I insisted that the genealogical charter of Hwarangsegi is critical evidence which shows that Hwarangsegi is not a forged book(material). To understand Silla-version narratives of Hwarangsegi, I wish to abandon forgery theories on Hwarangsegi, and shift a historical paradigm to find out narratives of Silla written by Silla people.
목차
Ⅰ. 머리말
Ⅱ. 계보의 기능과 『화랑세기』에 나오는 계보들
Ⅲ. 『화랑세기』에 나오는 신라인의 世譜
Ⅳ. 『화랑세기』에 나오는 신라인의 世系
Ⅴ. 『화랑세기』에 나오는 풍월주들의 계보와 파맥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高句麗 慕本王代 4郡 공격 배경과 영향
- 해방 직후 한국사 교과서 발행과 삼국 통일에 관한 서술 검토
-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의 특징과 건립시기
- 『화랑세기』에 나오는 系譜(genealogical charter)가 갖는 중요성과 그 의미
- 唐의 고구려 지배정책과 安勝의 行步
- 6세기 百濟와 山東의 佛敎文化 交流에 대한 再考
- 唐 靈州 賀蘭山의 불교와 無漏
- 新羅의 磐井亂 개입과 金官加耶 倂合
- 단양 온달산성의 축조시기와 운영주체에 대한 재고찰
- 경주 南山 七佛庵 불교조각과 石經片으로 본 통일신라의 불교신앙과 의례
-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에 대한 고찰
- 삼척 흥전리사지 삼층석탑의 미술사적 의미
- 북한 고구려 고분벽화 模寫圖의 가치와 활용에 대하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