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에 대한 고찰
이용수 64
- 영문명
- A Study on the Seated Stone-Built Statue of Vairocana Buddha at Biroam Hermitage of Donghwasa Temple: Focus on the Establishment Date of Statue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홍채아(Chae-a Hong)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29집, 395~432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구 동화사 비로암의 석조비로자나불상은 비로암 삼층석탑에서 나온 사리호의 명문을 통해 863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하지만 동화사 상은 동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알려진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상(865)이나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상(867)과는 확연하게 다른 양식적 차이를 보이고 있어, 비로암 삼층석탑 사리호의 연대인 863년에 탑과 함께 조성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며, 불상에서 나타나는 양식 및 도상적 특징과 함께 당시의 정치적인 상황을 고려해 볼 때, 민애왕 사후 839년 즈음이 조성의 하한연대일 것으로 추정된다.
대좌의 중대석에 7사자가 표현된 비로자나불상은 동화사를 비롯해서 법수사, 불국사, 각연사 등 모두 신라 왕실과 연관이 있는 사찰들에 봉안되어 있으므로 중대에 표현된 7사자 도상은 중앙의 왕실미술과 관련이 있을 개연성이 상정된다. 이 가운데 동화사 상은 7사자 대좌의 비로자나불좌상의 현존하는 가장 이른 예로 추정되며, 이후 제작되는 신라하대 비로자나불상들의 도상적 범본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동화사 상에서 보이는 신라하대 불교조각의 양식적 요소 역시 주요 교통로상에 위치한 팔공산의 동화사로부터 신라 북부의 여러 지역으로 퍼지면서 크게 유행했을 것이다. 종합해보면, 동화사 비로자나불상에서 보이는 조형적인 특징과 도상은 신라하대 불교조각계에 널리 확산되어 이후 고려 초까지 이어져 내려왔던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on the Seated Stone Statue of Vairocana Buddha from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enshrined in the Biroam Hermitage of Donghwasa Temple(桐華寺 毘盧庵) at Mt. Palgong in Daegu, North Gyeongsang Province. Its year of construction is estimated until now to be the third year of King Gyeongmun's reign(863) in Unified Silla based on the Agalmatolite Sarira jar excavated from the three-story stone pagoda in front of the Daejeokgwangjeon Halls(大寂光殿) of Biroam.
There are, however, no records at all about statue except for the documents recovered from the sarira jar from stone pagoda of King Minae(敏哀大王石塔舍利壺). In addition, the remaining literature records about Buddhist Master Shimji(心地大師), who is estimated to have participated in its creation, are also limited. It is thus difficult to conduct specific researches on the statue as an independent statue of Buddha. There were only a few precedent studies on the relations between this statue and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time such as royal authority, politics, and religion, etc., it should be reexamined the production date of the Vairocana Buddha statue in Donghwasa Temple.
This study thus set out to sort out the creation background and record interpretation of Statue of Vairocana Buddha at Biroam Hermitage, which had been addressed fragmentarily, analyze its form, and classify statues of Buddha similar to it from the 800-900 years, investigating its effects on Buddhist sculpture during the late Silla. Iconography of seven lions which located in pedestal(臺座) made in artisans from capital Gyoengju working for the royal family by comparative examination. Besides, Donghwasa statue is strongly reexamined the production date through looking into the royal court’s background of the late Silla.
목차
Ⅰ. 머리말
Ⅱ. 동화사의 창건배경과 신라왕실
Ⅲ. 석조비로자나불좌상과 중앙지역의 불교미술
Ⅳ.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의 편년에 대한 검토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高句麗 慕本王代 4郡 공격 배경과 영향
- 해방 직후 한국사 교과서 발행과 삼국 통일에 관한 서술 검토
-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의 특징과 건립시기
- 『화랑세기』에 나오는 系譜(genealogical charter)가 갖는 중요성과 그 의미
- 唐의 고구려 지배정책과 安勝의 行步
- 6세기 百濟와 山東의 佛敎文化 交流에 대한 再考
- 唐 靈州 賀蘭山의 불교와 無漏
- 新羅의 磐井亂 개입과 金官加耶 倂合
- 단양 온달산성의 축조시기와 운영주체에 대한 재고찰
- 경주 南山 七佛庵 불교조각과 石經片으로 본 통일신라의 불교신앙과 의례
-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에 대한 고찰
- 삼척 흥전리사지 삼층석탑의 미술사적 의미
- 북한 고구려 고분벽화 模寫圖의 가치와 활용에 대하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