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Korean communication competency recognition and needs of learn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Focusing on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at cyber universities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민우(MinWoo Lee)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31 No.1, 257~27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cognition and needs for Korean communication competency among non-Korean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an online Korean language course. To this end,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d necessity of the categories of communication competency recognized by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measured, and then IPA(Importancce-Performance Analysis: Martilla & James, 1977) analysis and Borich’s needs analysis(Borich, 1980) were used. After implementation, we examin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outcomes depending on learner variables. After examining the sub-item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importance, current level, and need depending on the learner’s home country,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current level, demand, and necessity depending on academic background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In addition, there are differences in need depending on the learner’s reason for learning Korean, so it is necessary to respond to individual learnier’s needs according to learner variables when designing curriculum for online foreign language learners of Korea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배경
Ⅲ. 연구 대상과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숙형 몰입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 인도네시아어 철자법(EBI)과 제5차 완성 철자법(EYD V) 비교
- 우즈베크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기계 번역기 사용 연구
- 이미지 생성 AI를 활용한 영어 학습이 대학생들의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 A Comparison of Pre-Recorded Video Lectures vs. Live Zoom Lectures on Reading Comprehension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의사소통 역량 인식 및 요구도 분석
- Korean EFL Learner Preference for Voice-Based Audio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 기계번역도구 사용에 대한 EFL 영어학습자의 인식 및 정의적 태도 분석
- Teaching Arabic for Jews in Jerusalem: Navigating Significance and Challenges Amid Political Complexity
- Online Instructional Grammar Videos: Deductive and Inductive Approaches
- 중국어 개사 ‘给’와 한국어 격조사 ‘에게’의 대조 연구
- 영어 철자 오류의 원인 탐색
- 초등 예비교사의 규제 초점(Regulatory Focus) 성향과 영어 말하기 능력의 연관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확장학습이론에 관한 문헌 분석: 국내 문헌을 중심으로
- 대학 강의평가 문항 개선 및 타당화 연구: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교수자 개인 요인이 강의평가에 미치는 영향: D대학 강의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