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orean EFL Learner Preference for Voice-Based Audio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이용수 74
- 영문명
- Korean EFL Learner Preference for Voice-Based Audio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David Forbes Washburn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31 No.1, 35~6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Korean EFL learner preferences and perceptions of digital composing (DC) with innovative online technology tools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emergency remote learning measures. The research compares learner use of text-based DC and voice-based audio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AOD).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 What digital modes of interactive, online instructional design can serve as appropriate, learner-accepted replacements for offline instruction? One prior finding indicated that Korean undergraduate EFL learners preferred text and audio DC to video modes. To follow up, this paper investigates 57 learners’ preferences and perceptions toward text-based and voice-based DC, and compares the results. The data analysis methods employ paired-samples Tests, and a thematic analysis to identify issues raised in student comments. The results reveal that learners’ levels of user satisfaction with voice-based audio AOD and their ratings of its perceived usefulness confirm that it can be a satisfactory, effective, and preferable task for engaging learners in digitally-mediated four-skills practice. Another finding is that utilizing a voice-based audio module did not significantly alter learners’ course satisfaction when superseding a text-based module. These findings inform pedagogical practice with empirical insights regarding learners’ use of digital technologies, levels of acceptance, and DC preference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Research Methods
Ⅳ. Results and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미지 생성 AI를 활용한 영어 학습이 대학생들의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 A Comparison of Pre-Recorded Video Lectures vs. Live Zoom Lectures on Reading Comprehension
- Korean EFL Learner Preference for Voice-Based Audio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 영어 철자 오류의 원인 탐색
- Teaching Arabic for Jews in Jerusalem: Navigating Significance and Challenges Amid Political Complexity
- 기계번역도구 사용에 대한 EFL 영어학습자의 인식 및 정의적 태도 분석
- Online Instructional Grammar Videos: Deductive and Inductive Approaches
- 초등 예비교사의 규제 초점(Regulatory Focus) 성향과 영어 말하기 능력의 연관성 분석
- 중국어 개사 ‘给’와 한국어 격조사 ‘에게’의 대조 연구
- 인도네시아어 철자법(EBI)과 제5차 완성 철자법(EYD V) 비교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의사소통 역량 인식 및 요구도 분석
- 우즈베크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기계 번역기 사용 연구
- 기숙형 몰입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