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Comparison of Pre-Recorded Video Lectures vs. Live Zoom Lectures on Reading Comprehension
이용수 65
- 영문명
- A Comparison of Pre-Recorded Video Lectures vs. Live Zoom Lectures on Reading Comprehension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소희(So-Hee Kim)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31 No.1, 67~8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EFL English learners’ reactions and achievements when exposed to two types of online learning, pre-recorded lectures and real-time lectures, in a semester-long English reading class. The participants were 60 Korean university English learners who attended both types of online lectures for six weeks each. They studied three parts: reading comprehension for top-down and bottom-up reading skills, grammar, and vocabulary. Midterm and final exams assessed the learners’ achievements, and on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ir reac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preferred to study recordings and were most satisfied with their grammar studies in recorded lectures but preferred real-time lectures for reading comprehension.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y attained better scores on top-down reading skills and vocabulary learning through recorded lessons and higher scores on bottom-up reading skills and grammar learning through real-time lectures. Finally, the study shows the participants preferred to attend a combination of both online methods. This study suggests salient online learning ways for an English reading cours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Research Method
Ⅳ. Results
Ⅴ.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숙형 몰입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 인도네시아어 철자법(EBI)과 제5차 완성 철자법(EYD V) 비교
- 우즈베크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기계 번역기 사용 연구
- 이미지 생성 AI를 활용한 영어 학습이 대학생들의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 A Comparison of Pre-Recorded Video Lectures vs. Live Zoom Lectures on Reading Comprehension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의사소통 역량 인식 및 요구도 분석
- Korean EFL Learner Preference for Voice-Based Audio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 기계번역도구 사용에 대한 EFL 영어학습자의 인식 및 정의적 태도 분석
- Teaching Arabic for Jews in Jerusalem: Navigating Significance and Challenges Amid Political Complexity
- Online Instructional Grammar Videos: Deductive and Inductive Approaches
- 중국어 개사 ‘给’와 한국어 격조사 ‘에게’의 대조 연구
- 영어 철자 오류의 원인 탐색
- 초등 예비교사의 규제 초점(Regulatory Focus) 성향과 영어 말하기 능력의 연관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순열의 수에 관한 등식의 증명과 규칙에 대한 연구
- IB DP와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 비교: 교육과정 문서와 교사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 선택 활동 기반의 초등학교 2학년 수업 분석: 덧셈과 뺄셈 단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