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드리안 셔골드의 <설득>: 오스틴 소설의 현대적 다시 쓰기
이용수 0
- 영문명
- Adrian Shergold’s Persuasion: Contemporary Rewriting of Austen’s novel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백승봉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30호, 5~3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how Adrian Shergold adapted Jane Austen’s Persuasion for film to communicate with contemporary readers. First, Shergold has transformed the original narrative of Austen’s work and recreated it into a melodrama. In the original work, the traditional class values and changes in the early 19th British society were the important historical backdrop of the novel. In contrast, in the movie, the narrative has been adapted into a more sensationalized and feel good story focusing more on personal achievements rather than the historical backdrop. Shergold centralizes his work on the main characters, their choices and the simple, but beautiful love story than that of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This has been realized through a rapid progression of retelling the novel with omissions and changes of crucial scenes. Therefore, the audience is left with a more dramatic and perhaps more accessible version by today’s standards instead of a faithful reflection of the original work. Furthermore, as a result of Shergold’s own interpretation of each character he was able to rebirth a more simplified, approachable story in which the public could relate to. One of the most notable differences in Shergold’s movie is the way he depicts the character of Anne Elliot. In the scene of the reunion between Anne and Captain Wentworth, much focus is on Anne, broken hearted and living in pain and anguish. Anne has been recreated as a more realistic and relatable character than that of Austen’s. Anne’s detailed inner world is expressed vividly through nonverbal ways, such as her gestures and body language in the movie. She doesn’t hide her inner voice, and allows the audience to know her thoughts and feelings clearly through her diary and narration. This contributes to reproduce the meaning of the original work in a way viewers can digest more soundly. While Shergold does foll ow much of Austen’s original plot, he also keeps a distance. He transforms the n arrative through re interpreting characters and events and rewriting. The original work can now be seen from a new perspective through rapid development and intensified close-up images of characters in the movie. Overall, Shergold has drawn positive and favourable reviews from critics and audiences alike, thus achieving his goal of reinterpreting and retelling Austen’s story for the 21st century.
영문 초록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 거리두기와 변형을 통한 다시쓰기
Ⅲ . 앤 중심의 서사적 다시쓰기
Ⅳ . 맺음말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드리안 셔골드의 <설득>: 오스틴 소설의 현대적 다시 쓰기
- <진링의 13소녀>의 서발턴 서사의 스토리텔링
- 한국 독립영화 제작 지원 정책 연구
- 대조의 미학을 활용한 영화 연출 연구 - 자크 오디아드의 영화 <내 심장이 건너뛴 박동>을 중심으로 -
- 영화 속의 메소드연기 연출에 의한 효과적 표현 연구와 응용 방식 연구 - 홍상수 영화와 영화 <전주에서 길을 묻다>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
- <추격자>,<세븐>, 그리고 <양들의 침묵>에 등장하는 사이코패스 캐릭터의 비교와 그것이 플롯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랑은 비를 타고>의 자기반영성을 활용한 교육심리학의 메타인지 개념 교수법 연구
- 후반 영상제작에서의 실시간 위치 트래킹을 이용한 모션그래픽 가상카메라 연구
- 크리스 마커의 <태양 없이>에 드러난 시간과 기억의 표현방법 연구
- 키에슬롭스키 영화에서 ‘관객의 주체화’ 문제 제기 - <십계 5>, <살인에 관한 짧은 필름>을 중심으로 -
- The Aesthetics of Cuban Cinema achieved by Imperfect Technology - With focus on Post-Revolutionary Avant-garde films -
- 한국영화산업 발전을 위한 시나리오 표준 포맷 상용화를 위한 연구 -씨네한글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