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creening of Color films in Colonized Korea: Focusing on the Kinemacolor and Changes of Film Business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한상언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67호, 159~18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키네마칼라를 중심으로 식민지 조선에서 칼라영화의 수용에 관한내용을 담고 있다. 1910년대 상영된 활동사진 프로그램에는 채색이나 착색, 염색으로 구분된 영화가 있었다. 채색이나 염색을 통해 색을 구현했던 칼라영화들이 조선에서도 상영되었던 것이다. 1914년 경성의 황금관에서는 일본 텐카츠(天活)회사에서 수입한 것을 하야가와연예부에서 배급한 키네마칼라가 상영되었다. 텐카츠는 영국에서 개발된 키네마칼라 기술을 토대로 칼라영화를 만들고 배급하던 회사였다. 키네마칼라를 발판 삼아 하야가와연예부는 인천의 표관을 시작으로 평양, 부산 등조선 각지에서 영향력을 확대했다. 하지만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을 계기로 필름을 많이 소비하는 키네마칼라의 제작과 상영이 위축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텐카츠는 필름을 적게 사용하는 연쇄극의 제작에 주력했으며 1915년을 기점으로본격적으로 미국의 연속영화가 수입, 상영되며 키네마칼라는 영화관에서 사라지게 된다. 이 논문은 키네마칼라를 중심으로 식민지시기 조선에서는 초창기 주요한 칼라영화기술들이 소개되었으며 이러한 기술의 등장은 영화산업에 영향을 주었음을밝히고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 have incorporate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acceptance of color film in colonial Korea. In the 1910s some of motion picture screening programs were separated by colored or tinted, dyed film. Color movies that embodied the color by using the coloring and dyeing have also been screened in Korea. In the Hwanggeumgwan of Gyeongseong from 1914, Kinemacolor movie has been screened. It was imported from Tenkatsu Japan and has been distributed from Hayakawa entertainment. Tenkatsu was a company that was distributing and making a color motion picture based on kinematic color technology developed in the UK. Hayakawa entertainment was expanding its influence various places in Korea, such as Pyoguan of Incheon, Pyongyang, Busan by using Kinemacolor as a toehold. However,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Kinemacolor were atrophied in response to the outbreak of the First World War. In these circumstances Tenkatsu focused on the production of kino drama to use less film. 1915 serial films of United States were imported and screened, Kinemacolor disappeared in a movie theater. In this paper, in the center of the kinema color, the initial major of color film technology has been introduced. The emergence of these technologies affected the film industry in Korea the colonial era.
목차
1. 서론
2. 초기 칼라영화와 키네마칼라의 수용
3. 조선의 영화흥행업과 키네마칼라
4. 제1차 세계대전 발발과 키네마칼라의 쇠퇴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소설의 영화화에 수반되는 매체변용에서의 제 문제- <비상구가 없다>의 경우 -
- 서울시 개최 영화제의 평가와 진흥 정책 연구
- 영화 속 복도 공간의 시각화 연구 - 공간 형태의 서사적 기능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