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화 속 복도 공간의 시각화 연구 - 공간 형태의 서사적 기능을 중심으로 -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Visualization of Corridor Space in the Film - Focusing on the Narrative Function of Spatial Form -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문정미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16호, 5~2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forms of space consist of the elements of visual design in the composition of shooting and can deliver the purpose of a certain shot or intended messages with ease. The space in the film can categorize its form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can be utilized in narrative strategies. Like this, there are some spaces in which the form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pace attain superiority over the semantic contents of spatial functions, and one of the representative spaces of it is the corridor. In many films, the corridor deepens the spatial dimension through its morphologic or structural characteristics. It also functions as perceptual concept having sufficient semantic possibilities and works as the visual motif of a concept. In the film, spaces or forms are not just arranged meaninglessly but have correlations with various elements of the film. The space perception in the film is not simply based on symbolization.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organization and narrative regardless of the functional relations of elements consisting of the film.
Thereupon, this paper examines the forms of corridor space and its compositional aspects in the film, and based on that, it discusses the relations between spatial concepts and perception with the relations between forms, utility (function), and meaning. Thereby, it proves that the corridor space in the film has made special visual achievements and also implies various strata of perception as well. Thus,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forms which the corridor has itself as space are used as meaningful visual elements in a frame and are extended to the conceptual mechanism ruling the narrative. The theoretical and analytic research conducted for this article is focused on what is conceptual and perceptual in corridor space, and based on the integrated understanding of corridor space, this paper suggests it as a more creative and specific case. Like this, once the spatial concepts to enhance dramatic immersion are put in order, it is possible to use the spatial design of the film for the interaction with audience and also to extend the range of image expressions as well.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kind of research continues so as to contribute to the diversity of image expression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속 복도 공간의 시각화 연구 - 공간 형태의 서사적 기능을 중심으로 -
- 일제시기 한국영화 스타일 연구: 발굴된 극영화들을 중심으로
- 영상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른 게임방송의 미래
- 다큐멘터리 제작의 기획, 촬영, 편집의 변화와 다양성에 관하여- 다큐멘터리 'Don't Laugh at Me' 제작에 나타난 사례를 중심으로 -
- 애니메이션 제작기법에 따른 운동 이미지의 비교연구: 픽실레이션과 로토스코핑을 중심으로
- 영화의 새로운 관람 및 영사방식- 뉴미디어로서의 갤러리영화 -
- 한국 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4: 영화 <통증>의 비주얼 콘셉트(Visual Concept)와 매체의 선택이 영상기술의 발전사에 부여하는 의미
- 느와르 영화의 색채에 대한 연구- 달콤한 인생을 중심으로 -
- 영화적 시각화 및 청각화 기술 - 눈에 보이지 않고, 말로 들리지 않는 것의 시청각화 -
- 국제공동영화제작의 경향과 정책
-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의 소통과 상호작용의 기호학적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