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화 속 하인 이미지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Study of the representation of servants: about social recognition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이나라 유승호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67호, 97~12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호네트는 개별자가 다른 개별자와 맺는 관계의 본성은 인지적인 측면 뿐 아니라 정서적이고 인격적인 측면에 따라 결정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정서적 인정, 법적 인정, 사회적 인정의 세 국면을 지니고 있는 인정투쟁의 중요성이 제기된다. 본 논문은 하녀와 하인의 세계를 주요 제재로 선택한 루이스 부뉴엘과 장르누아르의 <시골 하녀의 일기>, 김기영과 임상수의 <하녀>, 클로드 샤브롤의<의식>, 조셉 로지의 <하인> 등 여섯 편의 영화를 통해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 특히 돌봄 노동자의 인정투쟁이 어떻게 영화적으로 재현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하인의 섹슈얼리티는 착취의 대상이면서 두려움의 대상이다. 부뉴엘과 르누아르영화 속 하녀는 상층계급의 성적 위선 뿐 아니라 하층계급 남성의 공격성을 증언한다. 김기영과 조셉 로지의 영화는 부르주아 계급의 금욕주의를 조롱하고 하층계급의 성적 에너지와 전복의 가능성을 등치시킨다. 계층 사이의 갈등은 섹슈얼리티 뿐 아니라 문화적 취향의 간격에 대한 지각 속에서도 심화된다. <의식>은문맹자인 가정부 소피와 클래식 음악 애호가인 주인 가족을 대조시킨다. 부르주아 대저택의 폐쇄적이고 고립된 세계는 ‘수직성’을 강조하는 미장센을 통해 지배계급의 세계가 더 이상 공고하지 않음을 시각적으로 암시한다. 이상의 영화들은궁극적으로 상호인정의 실패와 ‘예속 관계’의 긴장감에 주목하며 생겨난 균열 속에서 민중의 정념을 가시화한다.

영문 초록

A. Honneth suggests that in the social relationship, affectivity and personality are as important as cognivity. As a result, the need for recognition is developed in the tree aspects of recognition : affective, legal and social. This paper will study six films that deal with servants: Luis Bunuel’s and Jean Renoir’s versions of “Diary of a Housemaid”, Kim Ki-young’s and Im Sang-soo’s versions of “Housemaid”, Claude Chabrol’s “The Ceremony” and Joseph Losey’s “The Servant”. In these films we will analyze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of servants. First, the upper class considers servants as sexual objects but is afraid of them at the same time. The bourgeois’ hypocrisy is accused in the housemaid’s eyes. He is also upset by her sexual energy. Social conflicts are captured through social differences and exclusion. Sophie, the illiterate in The Ceremony, is highly antagonist to family that enjoys high culture. Staging underlines the verticality of the large isolated house and its stable world. From this disturbing situation emerges the image of the people’s passions.

목차

1. 들어가며
2. 하층계급의 섹슈얼리티와 인정투쟁
3. 취향과 문화적 배제
4. ‘공위’의 시공간과 균열
5. 맺으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나라,유승호. (2016).영화 속 하인 이미지 연구. 영화연구, (), 97-128

MLA

이나라,유승호. "영화 속 하인 이미지 연구." 영화연구, (2016): 97-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