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ilm Art and Cinema Education Program in France: Focused on Movie Theater Support System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노철환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67호, 29~5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0년대 한국 영화시장은 멀티플렉스로 대변된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멀티플렉스는 스크린수, 관객점유율, 수익률까지 영화상영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이들은 모두 대기업들과 연관되고, 관련사들은 투자와 배급을 겸하고 있다. 영화시장 수익의 대부분이 영화관에서 난다는 것을 고려할 때, CJ나 롯데 같은 대기업은 실효적으로 한국영화산업을 장악하고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 한국의 멀티플렉스는 시내 중심가에, 쇼핑몰, 백화점 등 같은 건물에 자리하고있다. 관객들은 영화 관람과 더불어 영화관 주변에 위치한 문화를 누린다. 멀티플렉스는 영화산업만이 아니라, 문화생활의 중심이다. 영화는 대자본이 오가는 산업이면서 대중 예술이기도 하다. 영화가 가지고 있는 문화, 예술적 영향력은 단순한 돈벌이라는 가치를 넘어선다. 영화시장의 질서유지를 경제 주체들에게 온전히 맡기기 어려운 것도 같은 이유다. 그런 측면에서프랑스는 예술교육과 시장의 질서 균형을 연결시킨 좋은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 프랑스영화관의 활용에 관한 연구다. 영화의 탄생지이자 영화예술의 수호자로 간주되는 프랑스에서 영화관이 영화예술을 어떻게 지원하고 교육에 활용하고 있는지 들여다본다. 연구는 지원제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영화 산업, 문화적 다양성 및 예술교육 측면에서 영화관의 역할을 살펴본다. 경제적가치 추구라는 한계를 넘어선 프랑스영화관의 활용을 통해 한국영화관의 미래와확장 그리고 영화관 관련 정책을 가늠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다.
영문 초록
In the 2010s, Korean film market is represented by the multiplex. Major multiplex chains such as CGV, Lotte cinema, Megabox capture over 90% of the overall Korean movie theater market in terms of number of screens, audience share, earning rates etc. These multiplexes are closely connected with conglomerates. Their affiliated companies also serve the film investment distribution firms. Given that the profit, over the eighty percent of the Korean film market, comes from movie theaters,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large companies dominate the film market. In brief, Korea cinema industry is widely affected by the management of some large companies, like CJ, Lotte. Multiplex in South Korea is not the place just to see movies. Almost all multiplexes are located downtown in buildings such as shopping malls and department stores. The audience can enjoy their urban life around the theaters. Multiplex means not only a center of the Korean film industry but also offers cultural activities to the audience. Cinema has two sides, as a big money industry and public art. Given its cultural, artistic influence, it is unreasonable that the capital takes the spear the maintenance of the film market order. In that regard, France is a good example that the government’s movie theater support policies regulate the market and encourage film art education. This is the study on an application method of the current French movie theater. France as the birthplace of cinema and a guardian of film art, this study looks into how movie theaters are used for protection of art film and the education of film art. This study researches into three parts of French cinema : Film industry, Artistic diversity and Art education. It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French support system of the cinema and some support projects to understand its policy direction. Movie theater is the core of film market in South Kore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future of Korean movie theater and policy support through the use of French cinema that overcomes a framework to pursue economic value.
목차
1. 서론
2. 프랑스 영화관시장
3. 문화 예술측면 영화관 지원
4. 예술 교육측면 영화관 지원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대학 등 영상교육기관들의 초고화질 영상교육의 현안과 과제-UHD를 중심으로-
- 극영화에서 프로덕션디자이너의 색채계획 방법론-색채계획 수립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차세대 미디어를 위한 멀티채널운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