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울시 개최 영화제의 평가와 진흥 정책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valuation and Promotion Policy for Film Festivals in Seoul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송낙원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17호, 59~8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nternational film festival means the event where diverse genre of films from all over the world are shown and compete each other, also actors and directors are invited for the interaction and networking between filmmakers in its film market. It offers audiences chances to meet various kinds of films and filmmakers that of interaction and business. Moreover, it develops film as art and industry, and takes a role as a window through which the culture including film in its society matures and develops in general.
The key to success in film festival is judged by the view of participants in the group, which decide whether it was successful or insufficient to meet the expectation and plan, and the check point differs in the stages of its process. It can be evaluated by plan, budget,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chosen films and filmmakers, and by the practice like the ability to perform and manage it in the period of the festival. Finally after the festival, its assessment can be done by clear accounting and the appraisal by the press, filmmakers, audiences and festival organization itself. The competitiveness of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s summarized as reputation that attracts qualified films and filmmakers, differentiation that reveals clear direction and unique color in its programming, and effectiveness in its management, the composition of its business, and finance.
In this point of view,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by the Seoul government has to secure cultural diversity by introducing art films, independent films, experimental films, classics, and ethnic films which it is hard for citizens and audiences to meet in the theaters. This can help each film festival to enhance the reputation and the authority, and to motivate filmmakers and audiences to participate in the festival spontaneously.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설의 영화화에 수반되는 매체변용에서의 제 문제- <비상구가 없다>의 경우 -
- 서울시 개최 영화제의 평가와 진흥 정책 연구
- 그레마스 이론을 통한 TV 드라마 '태왕사신기' 서사분석
- '고담시'의 공간적 의미 및 공간 재현방식 연구- 크리스토퍼 놀란의 <배트맨> 3부작을 중심으로 -
- 예술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텔레프레즌스의 활용
- '허우 샤오시엔' 영화 속에 나타난 이차 프레임 연구- 비정성시, 카페 뤼미에르, 쓰리 타임즈를 중심으로 -
- 안타고니스트적 프로타고니스트 캐릭터 구축과 효과에 관한 연구- <오아시스>와 <데드맨 워킹>의 캐릭터 분석을 중심으로 -
- 포스트모더니즘과 연극형식의 영화에 관한 연구 - <요리사, 도둑, 그의 아내 그리고 그녀의 정부>와 <도그빌>을 중심으로 -
- 3D 사전 시각화를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특징 연구- 스토리보드 전용(專用) 소프트웨어 및 3D 하이엔드 소프트웨어 분석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