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스릴러 장르의 피해자 - 여성 표상

이용수  0

영문명
Representation of woman victim of thriller genre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박인영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67호, 59~95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1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스릴러 영화의 장르적 쾌락을 젠더적 시선 개입을 통해 비판적으로 사유하는 가운데, 종전까지 사각지대에 놓였던 피해자-여성의 표상이라는 하위주제에 집중한다. 여성과 폭력을 주요 주제로 하는 스릴러 장르는 폭력에 대한과잉 묘사와 함께 남성적 시선에 의한 여성의 타자화라는 점에서 비판을 받는다. 젠더화된 공포와 고통을 장르적으로 자원화하는 스펙터클 전략을 택하는 지점에서 스릴러 장르는 여성, 특히 피해자-여성들의 비가시화와 타자화를 재현하며 애도의 배제라는 민감한 윤리적 딜레마를 야기한다. 피해자 여성 혹은 여성의 몸은 스릴러의 플롯을 이끄는 핵심적 질문으로 서스펜스를 창출한다. 하지만 죽음과 함께 부재의 영역에 배치되거나 침묵하는 자로서 비가시화되는 동시에 비체적 이미지로 장르적 도상성을 부여받는다. 특히 사진을 매개로 여성의 죽음이 미학화되는 맥락에서 인간성의 몰수 및 삭제는 확정되고, 죽은 자에 대한 체계적 망각과 비동일시라는 관객 정체성의 안정화 장치가효과적으로 작동한다. 이러한 비체의 도상학은 성적 차이의 구축을 투명하게 보여주는 성별주의를 바탕으로 한다. 전세계적 베스트셀러를 원작으로 하는 스웨덴 영화 <밀레니엄>은 피해자-여성의 얼굴 클로즈업을 특권적 요소로 선택, 스릴러 장르의 피해자-여성 표상에 대한 문제제기를 시도한다. 부재와 소멸의 증거로서 제출된 바 있는 지극히 친숙한이미지로서, 처참하게 훼손되고 창백하게 사물화된 피해자-여성의 얼굴은 인간적충만함의 배제와 결여를 표상하는 사물적 지위에 고정되는 양상을 보인다. 반면<밀레니엄>은 사진 매체의 전면적 개입과 특권적인 영화적 내레이션을 바탕으로원작 및 동명의 미국 영화와도 차별화되면서, 피해자-여성의 비체적 표상에 대한일종의 ‘카운터 숏’을 재현한다. 본 연구는 여성의 취약성과 무력감을 각인함으로써 현실의 젠더적 지배체계를확대재생산하는 스릴러의 장르적 관습을 해체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당위성을제기한다. <밀레니엄>에서 인상적인 피해자-여성의 얼굴 클로즈업은 타자화와 피해자화를 제어하고 여성에게 인격적 현존을 부여할 수 있는 영화적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제시한다. 이는 장르적 쾌락의 냉담함과 반윤리성을 반성적으로 사유하고 고통의 얼굴을 외면하지 않는 영화적 상상력의 작동을 요청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pleasure of thriller genre through gender critics and has the purpose of deconstructive discourse on the conventional representation of woman victim. Thriller genre which produces the gendered anxiety and fear is criticized for the most male-centric narrative and exploitational strategy of representation. Narrated by a man with an excessive portrayal of women, it appropriates the pain of victims for the main pleasure. In spite of the major theme of women and violence, thriller causes ethical dilemmas because of the exclusion of sensitive compassion or mourning. Millennium(2009), Swedish film version of best-selling novel which shows the differences from the original text and the American film of same title by David Fincher, Millenium(2011), makes remarkable achievement in corr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ctimization and empowerment of woman. The big and grand close-up of woman victim in Swedish film, can be seen as the counter shot of the abjective images that symbolize the dehumanization and reification of women who have been killed. Focusing the meaning of close-ups in Millenium, this study proposes the gender invention of thriller genre that eliminates victimization and othernization of feminity, which can make the re-evaluation of cinema of pain and its spectatorship.

목차

1. 서론
2. 스릴러와 여성
3. <밀레니엄>: 카운터 숏의 “메멘토 모리”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인영. (2016).스릴러 장르의 피해자 - 여성 표상. 영화연구, (), 59-95

MLA

박인영. "스릴러 장르의 피해자 - 여성 표상." 영화연구, (2016): 59-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