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화 <7번방의 선물>, <변호인>, <국제시장>, <암살>의캐릭터 매력 분석

이용수  13

영문명
Analysis of Character Attractiveness, Focused on Movie 'Miracle in Cell No. 7', 'The Attorney', 'Ode to My Father', 'Assassination'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김수정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67호, 5~2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흥행 한국영화 들의 인물 캐릭터 매력특징을 찾고자 시행된기초연구로 실증적 연구이다. 분석 대상 한국영화는 <7번방의 선물>(2013), <변호인>(2013), <국제시장>(2014), <암살>(2015)이며 선정기준은 최근 3년간 개봉되어 관객 수 천만을 넘은 총 5편 중 역사물인 ‘명랑’을 제외한 4편이었다. 영화내의 인물들 중 분석 대상 캐릭터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인물들의 서사적 기능을중심으로 분류하기에 합당한 조셉 캠벨의 ‘7가지 캐릭터 원형’을 사용하였다. 원형에 따라 분류된 캐릭터들의 매력특징을 살피기 위해서는 매력과 관련된 어휘를 사용하여 평정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캠벨의 원형에 의해 분류된 캐릭터의 매력을 실증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Langmeyer 등(1994)의 연구에서 발견한 다차원적(내적, 외적) 매력의 측정항목을 국내 실정에 맞도록 평가하여 제시한 박상준 등(2008)의 ‘매력의 4가지 차원’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분석대상영화 4편 모두에서 영웅, 정신적 스승, 전령관, 장난꾸러기에 해당하는 캐릭터의 원형이 모두 존재했으나 영화<국제시장>의 경우는 그림자원형이 생략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한 주목할 만한 결과는 장난꾸러기 원형에서 나타났는데 전통적인 장난꾸러기 캐릭터 특징 이외에 발견된특징으로 형용사 ‘마음씨가 따뜻한’이 높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 empirical research to find the attractiveness of characters in recent top-grossing Korean movies. Subject movies analyzed herein included , , and , and the four movies were selected out of the five movies―excluding a historical film, Roaring Currents (명량)― that were released over the recent three years and surpassed 10 million tickets. In selecting target characters within the movies, the “seven character archetypes” of Joseph Campbell were used herein considering its suitability to classify characters by narrative function. The attractiveness of the characters classified by the archetypes was rated herein by using words related to attractiveness. “Four dimensions of attractiveness (Park Sang-jun, 2008)” were also used herein to empirically analyze the attractiveness of the characters classified by the archetypes of Campbell. The four dimensions suggested the criteria, suitable for domestic circumstances, to measure multi-dimensional attractiveness (internal and external) discovered in the study of Langmeyer, 1994. As results of analysis, the characters of the hero, the mentor, the herald and the trickster existed in all of the four subject movies, but the character of the shadow was not found in . Meanwhile, a noteworthy result was discovered herein in the character of the trickster. The adjective “warm-hearted” that was found other than conventional attributes of trickster characters was high in the mov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분석 대상 영화들의 캐릭터 분석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정. (2016).영화 <7번방의 선물>, <변호인>, <국제시장>, <암살>의캐릭터 매력 분석. 영화연구, (), 5-28

MLA

김수정. "영화 <7번방의 선물>, <변호인>, <국제시장>, <암살>의캐릭터 매력 분석." 영화연구, (2016): 5-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