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about the modernist trend of John Cassavetes’ films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이지현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67호, 129~15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크게 ‘서사’의 방식과 ‘형식’의 방식, 두 가지의 관점에서 존 카사베츠의 영화가 보이는 특징들에 대해 살핀다. 먼저, 서사의 양상에 있어서 카사베츠의 영화는 맥락적 지표를 중시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 알레고리나 상징보다 ‘영화 서사의 디자인’이나 ‘인물의 감정’에서 카사베츠의 작품은 세심하게 고민한다. 장르의 문제에서도 마찬가지다. 존 카사베츠의 영화는 드라마투르기의 측면에서당대 다른 영화들보다 더 시적이라 말할 수 있다. 다만 압축을 꾀하지도 환유를시도하지도 않는다면 면에서 그의 영화는 특징적이다. 당대 유럽 영화의 알레고리 사용법을 벗어나서, 카사베츠의 영화는 새로운 감각을 지향하고 있다. 거대스튜디오 시스템에서 벗어난 대표적 독립영화 작가로서 그는 미국 영화의 새로운 경향을 세운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방식의 읽기를 가능하게 만드는‘자유로운 영화’의 전통이야말로 미국독립영화의 새로운 경향이라 이를 만한 것이다. 한편 카사베츠 영화의 모더니티적 경향은 프랑스 누벨바그 사조와도 구별된다. 미국영화가 지닌 고전의 전통들 혹은 고전적인 철학에 대한 회의적인 고뇌는 카사베츠의 영화에서 사라지고 없다. 마찬가지로, 장르는 다르지만 그와 같은 경로를 거친 모더니티의 후예들로 본고는 우디 알렌과 마틴 스콜세지의 경우들을 언급할 수 있다. 영화적인 방식, 혹은 테크닉에 있어서도 카사베츠의 영화는 또 다른 전례로 자리매김한다. 바로 ‘핸드헬드와 클로즈업, 그리고 그에 관련된 몽타주’의 관계에서존 카사베츠의 영화는 ‘스펙타클’의 개념과 정반대의 위치를 차지하면서 존재감을 보인다. 그의 영화들은 시각이 강조된 이벤트를 선호하지 않는다. 그리고 논리적 연속성보다도 감각과 표피를 통한 직접적 전달을 더 중요시한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존 카사베츠는 제작의 효율성 문제와 어우러져 독립영화의 올바른특성을 드러낸다. 요컨대 누벨바그의 작가들이 보였던 언어적인 기표의 중요시와전혀 별개의 위치에서, 카사베츠는 미국 독립영화의 새로운 미덕을 장식한 감독이라 이를 수 있다. 후대 작가들이 걸을 수 있는 또 다른 지향점에 대한 역사를보여준 측면에서 그의 공로는 인정받아야 할 것이다. 만일 카사베츠의 영화를‘표면을 그리는 영화’라고 말한다 해도, 이는 틀린 말이 아니다. 상징화된 흔적으로부터의 당당한 탈출, 그 현대적인 도약을 카사베츠의 영화 목록 전체는 밝히고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John Cassavetes’ films in terms of methods and forms of narration. In narration, Cassavetes’ films do not use contextual indexes. Thus, his films deal with ‘design of film narration’ or ‘emotions of characters’ rather than allegory or symbols. In terms of dramaturgy, John Cassavetes’ films aim at a little more poetic transformation than other films of the time. Nevertheless, he does not compress them or use metonymy. As a typical independent director out of giant studio systems, John Cassavetes established a new trend in American film. The tradition of ‘free films’ which made interpretation of various ways possible was created by him. Modernist trend of Cassavetes’ films is distinguished from the trend of French Nouvelle Vague. Classical tradition or skeptical agony on classical philosophy which American films possessed disappears in his films. This study mentions Woody Allen and Martin Scorsese as the descendants of modernity who underwent same path as Cassavetes’ although their genres were different. Cassavetes’ films took its place as another precedent in methods or techniques of film. In the relationship among hand-held shots, close-up shots and related montage shots, John Cassavetes’ films take opposite position against the concept of ‘spectacle’ and make themselves felt. His works do not prefer events which emphasize visual sights and they place more importance on direct delivery through senses and epidermis than local continuity. In a completely separate position from the importance of linguistic symbols which the writers of Nouvelle Vague placed, Cassavetes displayed a new virtue of American independent films. He deserves to be given the credit of showing the history of creating yet another directing point toward which following writers can tread. It is not wrong for us to say that Cassavetes’ films are ‘films depicting surface’. Whole list of Cassavetes’ films clearly exhibits proud escape from symbolized trace and their modern jump.
목차
1. 서론
2. 서사의 측면
3. 형식의 측면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소설의 영화화에 수반되는 매체변용에서의 제 문제- <비상구가 없다>의 경우 -
- 서울시 개최 영화제의 평가와 진흥 정책 연구
- 영화 속 복도 공간의 시각화 연구 - 공간 형태의 서사적 기능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