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Strategy in Contemporary Korean Women’s Documentary Films: with a focus on
,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성진수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91호, 235~26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두 영화 <우리는 매일매일>과 <박강아름 결혼하다>를 형식의 측면에서 탐구한다. 현실 한국 사회의 페미니즘 쟁점을 영화적으로 표현하는 데 있어두 영화가 공유하는 재현 방식을 분석하고, 그것을 빌 니콜스가 제안한 다큐멘터리 영화 양식과 관련지어 설명한다. 즉 각 양식들이 실질적으로 구현되는 방식과서로 조우하고 상호작용하는 양상을 조사하고, 그로 인해 만들어지는 영화적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는 결국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영화로서 두 영화의 재현전략과 그것의 정치적 효과를 고찰하는 것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텍스트 분석을 통해 두 영화가 사적인 것과 공적이고 정치적인 것을 관계 맺는 재현 방식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첫째, 두 영화는 감독 ‘나’를 영화속에 재현하고 관객에게 제작 과정을 노출함으로써 감독이 재현 대상이나 관객과 평등한 관계에 놓이게 한다. 즉 다큐멘터리 영화를 만들고, 그 영화의 대상이되고, 그 영화를 보는 세 축의 주체들 간에 동일시에 의한 연대를 구축하는 것이다. 둘째, 두 영화는 참여적 양식의 재현 방식을 통해 사적이고 특수한 ‘나’의 경험을 집단과 연결함으로써 그것에 공적인 위상을 부여한다. 셋째, 다큐멘터리 영화 양식의 측면에서 볼 때, 두 영화는 성찰적, 수행적, 참여적, 설명적, 관찰적 양식의 혼용과 상호작용 속에서 현실을 재현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두 영화가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다큐멘터리 영화의 재현 양상을 보여주는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이들은 관객을 더 잘 설득하고 더 깊게 영화에 연루시킴으로써 더 정치적일 수 있는 다큐멘터리 영화의 방법론을 탐구하였고 성공적인하나의 사례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한국 영화 역사의 관점에서액티비즘으로서 다큐멘터리 영화 전통이 오늘날 어떻게 변모 혹은 진화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하나의 지표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two films, , in terms of form. It analyzes the representation method shared by the two films in expressing the feminist issues of Korean society in a cinematic manner and explain it in relation to the mode of documentary film proposed by Bill Nichols. In other words, it investigates the way each mode is actually implemented and the way it interacts, and examines the cinematic effects created by it. This will eventually analyze the representation strategies of the two films and examine their political effects. This study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resentation method in which the two films relate private and public and political things through text analysis. First, the two films represent the director ‘I’ in the film and expose the production process to the audience, thereby making the director have an equal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or the audience. Second, the two films give public status by connecting the private and special ‘my’ experience with the group through the representation method of the participatory mode. Third, in terms of documentary film mode, the two film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representing reality in the mixing and interaction of reflective, performative, participatory, explanatory, and observational mode. The two films do not show a completely new representation of documentary films. However, it is meaningful in that they persuaded the audience better, explored the methodology of more political documentary films, and became a successful example. They are also meaningful in that they are an indicator of how documentaries as political movement are evolving today in Korean films today.
목차
1. 서론
2. 여성과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
3. 동시대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영화에 나타난 재현 전략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시대 한국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영화에 나타난 재현 전략
- ‘아시아 영화 허브’의 기치 내세우기
- 아동수기영화 <구름은 흘러도>의 지향점 연구
- <기생충>, 포스트휴먼 ‘근세’의 해체된 얼굴
- 컨버전스 시대 할리우드 영화 이미지의 피상성과 탈선형적 구성
- 해외 영화제에서의 문화예술교육 활용 사례연구
- 크리스 마르케르의 역사 이미지와 디지털 유토피아
- 홍상수 영화의 장소성 연구
- <버닝>과 <기생충>의 비교 연구
- Divine or Devilish: Power behind “Mother” in the Sci-fi Horror Alien
- 한일 독립영화계, 최초의 조우에서 초연결 시대 상호연계까지
- 탈냉전기 한국에서의 ‘동아시아 영화 연구’ 동향
- 영화연구 제91호 목차
- 인공지능 영화 속 비체의 재현 방식 연구
- 로컬 시네마 스토리텔링의 대안 연구
- 영화연구 게재논문 투고, 심사(수정), 게재확정일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