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Method of abject in Artificial Intelligence Movies: Focusing on
(2001) and (2015)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서의석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91호, 27~64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공지능을 바라보는 디스토피아적 입장에서 우리는 과연 인공지능을 우리 인간과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바라보고 있으며, 어떤 모습으로 재현해내고 있는지 크리스테바의 비체화 개념을 적용하여 살피고 있다. 인공지능 그 중에서도 휴머노이드형 로봇을 소재로 하고 있는 영화가 재현하고 있는 주된 서사는 이중적인 기제를 발동한다. 인공지능이라는 새롭고 불확실한 존재를 기술에대한 불안감으로 재현함과 동시에 사회적 타자성을 투사하여 불안감에 대한 원인을 인간에게 전이시켜 기술에 대한 위협이 ‘덜’ 위협적인 것으로 길들여지도록만든다. 이 같은 영화적 재현 방식에 의해 재현되는 기술과 타자성의 결합은 매혹과 욕망의 대상이자 불안의 대상이 된다. 개인 혹은 사회의 차원에서 인간이사고하는 합리적 이성은 분절을 통해 주체와 비체의 존재를 만들어 왔으며, 이순간 발생하는 분절은 필연적으로 제외되는 것들, 다시 말해 비체의 대상을 억압하는 방식으로 그들을 추방시켜 주체인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욕망을 표출했다. 이는 비체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특징으로 인공지능 영화에서관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비체의 재현적 이미지는 자아 정체성의 유동성, 불안정성, 그리고 불확실성을 양산한다. 따라서 인공지능 영화의 서사 속 판타지는 욕망의 대상을 추구하는 서사가 아니라, 욕망을 세팅 즉, 의식과 무의식, 자아와 타자, 부분과 전체가 만나는 장소이며, 탈종속화된 주체성들이 어떤 고정된 장소를점유하지 않으면서 자아와 타자가 충돌하는 것으로 재현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we look at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with our human beings and how it is reproduced by applying Kristeva’s concept of abject. Amo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main narrative reproduced by a movie based on a humanoid robot invokes a dual mechanism. The new and uncertain exist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reproduced as anxiety about technology, and at the same time, it projects social otherness to transfer the cause of anxiety to humans, so that the threat to technology is tamed as ‘less’ threatening. The combination of the technique and the otherness reproduced by such a cinematic representation method is the object of charm and desire and the object of anxiety. The rational reason that human beings think at the level of individuals or society has created the existence of subject and abject through segmentation, and the segments that occur at this moment express the desire to find their identity by expelling them in the way of suppressing the objects of the abjection, which is inevitably excluded. This is a typical feature of the process of non-ego, and the representational image of non-ego, which is used conventionally in artificial intelligence films, produces liquidity, instability, and uncertainty of self-identity. Therefore, fantasy in the narrative of artificial intelligence film is not a narrative seeking the object of desire, but a place where desire is set, that i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self and others, and the whole meet, and the self and others are reproduced as conflicting while the desubordinated subjectivity does not occupy any fixed place.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비체화(abjection) 과정에서 생산되는 비체(abject)의 존재
3. 인간과 기계의 공존 가능성에 대한 재현 -
4. 비체의 전략에 의해 전복된 관계의 재현 - <엑스 마키나>
5.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시대 한국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영화에 나타난 재현 전략
- ‘아시아 영화 허브’의 기치 내세우기
- 아동수기영화 <구름은 흘러도>의 지향점 연구
- <기생충>, 포스트휴먼 ‘근세’의 해체된 얼굴
- 컨버전스 시대 할리우드 영화 이미지의 피상성과 탈선형적 구성
- 해외 영화제에서의 문화예술교육 활용 사례연구
- 크리스 마르케르의 역사 이미지와 디지털 유토피아
- 홍상수 영화의 장소성 연구
- <버닝>과 <기생충>의 비교 연구
- Divine or Devilish: Power behind “Mother” in the Sci-fi Horror Alien
- 한일 독립영화계, 최초의 조우에서 초연결 시대 상호연계까지
- 탈냉전기 한국에서의 ‘동아시아 영화 연구’ 동향
- 영화연구 제91호 목차
- 인공지능 영화 속 비체의 재현 방식 연구
- 로컬 시네마 스토리텔링의 대안 연구
- 영화연구 게재논문 투고, 심사(수정), 게재확정일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