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신성하거나 혹은 악마적인: 공상과학 공포영화 <에이리언>(1979)에 나타난 “마더”의 감추어진 권력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ZHU JING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91호, 97~131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마더(Mother)”라고 불리는 컴퓨터 본체 뒤에 숨겨진 권력 시스템을 분석함으로써 SF 공포물 <에이리언>(1979)을 재검토한다. 이 영화에서 여섯명의 승무원은 컴퓨터 “마더”와 애쉬(Ash)라는 사이보그와 함께 설치 우주선 노스트로모(Nostromo)를 타고 우주로 파견된다. 시간이 흘러 그들이 전능한 외계생명체로부터 학살당하는 순간이 찾아오자 살아남은 승무원들은 비로소 자신들의 우주여행의 궁극적인 목적이 미지의 종을 찾는 것이었음을 깨닫는다. 전통적으로, 오싹한 생김새를 가진 제노모프(Xenomorph)는 악마로 인식되는 반면 “마더”의 방은 일시적인 평화와 신성이 깃든 공간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이 연구는회사 웨일랜드 유타니 (Weyland Yutani)의 겉으로는 신성해 보이는 임무가 본질적으로는 외계인의 파괴적인 행위와 별반 다를 바 없음을 주장한다. 우선 이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본 영화와 기존 연구에 대한 배경 지식을 제공할 것이다. 우주선의 설계 및 운영 시스템을 분석 한 후 본 연구는 컴퓨터 “마더”와 사이보그애쉬의 의미에 대해 논의한다. 이어지는 논의에서는 우주선의 구조와”마더 “와애쉬가 배치된 방식을 자본주의 기업의 불명예스러운 행위와 이념에 연결시켜이 기업의 본질적 특성을 밝힐 것이다. 본 연구는 페미니즘과 물신주의적 개념을통해, 자기기만에 빠진”신성한 “기업이 어떻게 인간존재를 자본화하는지를 논의하면서 끝맺을 것이다. 이 연구는 공상과학 공포영화에 있어서 종교와 기술적 요소의 결합을 재해석하기 위해 다양한 단서를 제시하며, 현대 사회에서 자본주의의 비인간적인 측면을 포착하고 폭로하는데 있어서 그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e current study re-examines the science-fiction horror Alien (1979) by locating and analyzing the power hidden behind the computer mainframe named “Mother”. In the movie, six human crew were dispatched to outer space on an installer cruise Nostromo with the computer “Mother” and the cyborg Ash. It was not until the moment when they were slaughtered one after another by an apparently omnipotent alien creature that the remaining human group realized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the space trip was to search for the unknown species. Traditionally, the creepy-looking xenomorph is viewed as a demon, whereas the chamber of “Mother” is regarded as a place with temporary peace and divine. However, the study claims that the seemingly sacred mission of the company Weyland Yutani is no less devilish in nature than the destructive behavior of the alien species. The first stage will provide some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film and study. In the second stage, I will analyze the design and operational system of the spacecraft. The third stage will discuss the value of the computer “Mother” and the cyborg Ash. In the fourth stage, I attempt to expose the intrinsic quality of the corporation by linking the construction of the spaceship and the arrangement of “Mother” and Ash to the disgraceful action and ideology of the capitalistic firm. And finally, the paper will conclude that the self-flattered divine enterprise capitalizes human staff in feminist and fetishist concepts. This study presents various clues to reinterpret the combination of religious and technological elements in sci-fi horrors. It could also serve as a practice to identify and elucidate the inhuman aspect of capitalism in the contemporary world.
목차
1. Background
2. USCSS Nostromo and Ore Refinery
3. Computer Mother and Android Ash
4. The Company Weyland Yutani
5.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시대 한국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영화에 나타난 재현 전략
- ‘아시아 영화 허브’의 기치 내세우기
- 아동수기영화 <구름은 흘러도>의 지향점 연구
- <기생충>, 포스트휴먼 ‘근세’의 해체된 얼굴
- 컨버전스 시대 할리우드 영화 이미지의 피상성과 탈선형적 구성
- 해외 영화제에서의 문화예술교육 활용 사례연구
- 크리스 마르케르의 역사 이미지와 디지털 유토피아
- 홍상수 영화의 장소성 연구
- <버닝>과 <기생충>의 비교 연구
- Divine or Devilish: Power behind “Mother” in the Sci-fi Horror Alien
- 한일 독립영화계, 최초의 조우에서 초연결 시대 상호연계까지
- 탈냉전기 한국에서의 ‘동아시아 영화 연구’ 동향
- 영화연구 제91호 목차
- 인공지능 영화 속 비체의 재현 방식 연구
- 로컬 시네마 스토리텔링의 대안 연구
- 영화연구 게재논문 투고, 심사(수정), 게재확정일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