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이용수  147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Detox applying a Therapy Recreation Program Adolescence
발행기관
한국여가문화학회
저자명
최나연 강현욱
간행물 정보
『여가학연구』제22권 제3호, 65~8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심각성을 확인하고자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통한 디지털 디톡스의 효과성에 대한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총 20명으로 각 연구결과에 따라 10명, 4명으로 선정하였으며, 23년 12월부터 24년 4월까지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자가진단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의 참여과정 및 변화과정에 대한 질적 분석도 병행하였다.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디지털 디톡스 효과성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청소년기의 스마트폰 중독은 심각하게 조사되었다. 둘째, 스포츠 기반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 스마트폰 중독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개인의 내적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을 낮출 수 있는 방안으로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디지털 디톡스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청소년기의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firmed the seriousness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adolescents with smartphone addiction and observed changes in the digital dependence of adolescents through treatment recreation programs using digital detox. A total of 20 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10 and 4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ach study, and the treatment recreation program was applied from December 23 to April 24. The measurement tool used a self-diagnosis scale for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and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participation process and change process of the treatment recreation program was also performed. By applying a treatment recreation program, a result of digital detox effectiveness was derived. First,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ce is serious. Second, smartphone addiction is alleviated by participating in sports-based treatment recreation programs. Third, individual internal changes appear. These results contribute to exploring the narcissistic tendencies and various relationships of dance sports athletes and to understanding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developing training and support programs for athletes in the future in consideration of these characteristic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문제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나연,강현욱. (2024).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여가학연구, 22 (3), 65-89

MLA

최나연,강현욱.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여가학연구, 22.3(2024): 65-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